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42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붙이고 출력해서 만드는 맞춤형 인공장기의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기술을 연구하면서 인공장기 생산으로 나아가는 길을 닦고 있다. 현재는 엄지손톱만한
크기
의 장기를 만드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10년 후면 실험실에서 나온 장기가 환자의 몸 속에서 살아있는 장기를 대체할 날이 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 포스텍 3D 바이오프린팅 및 ... ...
고급세단 엔진보다 힘센 인공근육질 로봇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반응해 힘이 세진다. 이렇게 만든 인공근육은 1g당 8.2와트(W)의 힘을 낸다. 이는 같은
크기
의 사람 근육보다 30배 센 힘이다. 김 교수는 “종전보다 힘이 3배 강한 인공근]것”이라고 말했다. 반응 속도도 빨라졌다. 움직이는 속도가 빠르면 힘이 약해지는 기존 인공근육과 달리 이 근육은 힘을 ... ...
한국 연구진, 원자가 모여 핵 이루는 순간 세계 최초 관찰(종합)
연합뉴스
l
2021.01.29
제시한 점을 인정받았다. 핵 생성은 원자가 모여 물질을 만드는 출발점이지만, 원자의
크기
가 수 옹스트롬(Å·100억분의 1m) 수준으로 작은 데다 밀리초(ms·1천분의 1초) 단위로 빠르게 움직여 관찰이 어려웠다. (서울=연합뉴스)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서울대 ... ...
인류 발달 토대 엄지손가락 진화 약 200만년 전 이뤄져
연합뉴스
l
2021.01.29
이 저널을 발행하는 셀 프레스와 외신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화석 인류의 손가락뼈
크기
와 형태를 현생 인류와 비교하던 기존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엄지손가락의 맞섬 움직임을 지탱하는 핵심 근육인 무지대립근(musculus opponens pollicis)에 초점을 맞췄다. 인간과 침팬지의 손가락뼈와 근육의 ... ...
충돌위협소행성 '아포피스' 한국 우주개발 새 목표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2004년 미국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이 소행성은 지름 390m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크기
만 하다. 아포피스가 북두칠성과 비슷한 밝기로 빛나며 지구의 밤하늘에 등장하기 앞서 2028년 12월 한국의 첫 소행성 탐사선이 아포피스 공전궤도로 날아간다. 이 탐사선은 한국이 독자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 ...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쥐의 뇌세포에 있는 나노나침반이 작동해 피에조 이온 채널을 열고 닫는다. 실제
크기
의 장치는 자기장 생성 장치는 입구의 직경이 70cm로 병원에서 쓰는 MRI 장비의 직경과 비슷하다.김우현 기자 mnchoo@donga.com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우뇌에 있는 운동 신경 세포에 피에조 이온 ... ...
[랩큐멘터리]구글·인텔도 뛰어든 양자컴퓨터 세계로 '퀀텀점프'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
로 줄어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은 실생활에서는 결코 느끼기 힘든 연구 분야다. 인간의 직관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최신 물리학이지만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가 많다. 하지만 초전도체나 양자컴퓨터처럼 인류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2021.01.27
보통 지름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바이러스 입자와 비슷한
크기
이다. RNA 백신의 장점과 한계 코로나19 백신의 사례에서 보았듯, mRNA 백신의 장점은 무엇보다 신속성과 유연성이다.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빠르게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다. 2020년 1월 10일 ... ...
[소재의 미래]⑾최고 전문가들이 쌓은 고품질 데이터, 소재개발 플랫폼으로 이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하는 구체적인 소재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한 교수는 “합성에 필요한 조성, 소재의
크기
, 원소 조합을 제시해 누구나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며 “실험과 이론 사이 경계가 플랫폼으로 허물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 개발 플랫폼은 연구단 내 다양한 소재 개발에 쓰였다. ... ...
혈관·피부·근육 쉽게 만드는 세포 공장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생체적합 고분자 소재를 이용해 두께가 1μm 미만으로 매우 얇고 구멍은 훨씬 많은 동전
크기
의 세포 공배양 플랫폼을 만들었다”며 “카스테라처럼 막에는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세포 공배양 플랫폼의 막 두께는 트랜스웰의 10분의 1 수준에 해당한다. 연구팀이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