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스페셜
"
기대
"(으)로 총 2,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2배 늘었다. 워커는 “고령자의 경우 자동주행 자동차를 당장 사용하고 싶어할 정도로
기대
가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저널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정성과 소비자의 구입 의향, 정부 규제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
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평소 생명과학의 발전을 깊은 애정으로 지켜보는 필자이지만 이번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탐사하는 것도 먼 일이다. 하물며 외계행성에 가서 확인한다는 건 꿈도 못 꿀 일이다.
기대
는 높지만 지구 밖 생물체의 실물을 조만간 볼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아무튼 화성에서 생명체가 발견됐다고 상상해보자. 십중팔구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일텐데 이를 확보한 화학자와 생명과학자들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기대
를 하지 않기 때문에 관계에서 실망하는 일도 비교적 적은 편이다. 사람들에게 과한
기대
를 하지 않으며 타인의 친절 역시 당연하다기보다 감사한 일로 받는 경향도 보인다. 결과적으로 겸손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타인의 신뢰와 존경을 얻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FDA)의 승인을 받았다. 연구자들은 택솔과 이버멕틴 칵테일 요법의 임상을
기대
하고 있다. 문득 구충제가 항암제로도 작용한다는 게 그렇게 이상한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암이란 결국 인체의 구성요소로서 역할은 망각한 채 인체를 숙주로 여겨 영양분만 빨아먹고 자기 증식에만 열중하는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네이처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 2015년 어느 날. 유전적 피부질환 분야 전문가인 데 루카 이탈리아 모데나대 교수는 독일의 한 병원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선천적 피 ...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모든 유전자를 조작한 치료법이 나오리라
기대
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메커니즘은 이번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는 주제”라며 빗겨나갔다. 뭔가 그럴듯한 설명을
기대
했던 필자는 좀 실망했다. 연구자들은 휴식 공간의 조명으로 LED를 사용했는데, 백색광은 세 가지 LED를 다 켠 상태이고 파란빛의 경우 녹색LED와 빨간색LED를 껐다. 즉 파란빛 방은 백색광 방에 비해 조도가 ... ...
우리는 부족하기에 서로의 용기가 된다
2017.11.14
엉망진창일 때가 있고 그것은 당연한 것이죠. 하지만 그걸 넘어서 달라질 수 있음을
기대
하지 않으면 우리 삶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아요. 우리의 삶은 그 안에서 일어난 불행한 일들에 의해 정의되지 않아요. 우린 언제나 나빴던 순간을 넘어 더 잘 해보려 노력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으니까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많다. 3장 ‘인간은 떼 지어 몰려다닌다’에서 저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기대
한다고 생각되는 바에 부합하려 노력”하기 때문에 터무니없는 일임에도 남들을 따라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18일자 표지. 쥐방울덩굴속 식물을 그린 아름다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뒤 조사한 결과 역시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 ● ‘아는 게 병’인 경우 약효에 대한
기대
가 진짜 약을 먹지도 않았는데도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면 부작용에 대한 걱정 역시 진짜 약을 먹지도 않았는데 부작용을 겪게 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을 노세보(nocebo), 즉 역위약 효과라고 부른다. 예를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