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2020.01.04
- 우리를 지치게 만드는 것들 남들보다 죄책감이 많다든가 원래 불안이 많은 등의 개인적 원인들이 있겠지만, UC 버클리대의 심리학자 크리스티나 마슬락에 의하면 번아웃에 있어서는 개인적 요인보다 환경적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먹었을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가 진화하기 이전부터, 우리가 우리가 아니던 시절부터 우리는 술을 마셨다. 물론 술을 너무 마셔도 내가 내가 아니게 된다. 적당히 마시자. 다음 편 미리 보기 ┃ 인간의 면역계는 미생물총과 함께 공진화했다. 육식과 요리, 발효 음식의 진화는 뇌와 인지 능력, ... ...
- 최기영 장관 "새해 AI 강국의 길 열기 위해 누구나 AI 배우는 환경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9.12.31
- 않겠습니다. 둘째, ‘연구자’ 중심의 건강한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습니다. 우리 정부는 2020년 24조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합니다. 자율과 책임의 건강한 생태계만이 정직하고 성실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좋은 과학기술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연구자의 자율성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알았다. 냄새와 페로몬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보여준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은 우리가 철석같이 믿고 있는 사실의 상당 부분이 그저 ‘고정관념’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멋진 사례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2019.12.28
- 적당히 익은 김치와 부패한 김치의 차이다. 아무튼 우리의 피부와 장, 폐, 질 등은 이러한 미생물이 가득하다. 어머니의 자궁에서 발달할 시점부터 이러한 오랜 친구에 적절하게 노출되지 않으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분만 과정, 수유 과정, 어머니와의 접촉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2019.12.26
- 나갈수록 가속도가 더 커진다는 말은 400년 전의 갈릴레오를 부정하는 말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체중이 클수록 썰매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경험적으로 또는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왜 그럴까? 그것은 바로 저항력 때문이다. 썰매가 경사면을 내려갈 때에는 여러 저항력을 받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 ...
- 에교협 "월성1호기 영구정지, 과기계 노력 무시한 참을 수 없는 모욕"동아사이언스 l2019.12.25
- 없고, 원전의 재가동 여부나 (월성 1호기의 재가동을 위해) 추가 투입된 7000억원 등은 우리가 책임질 부분이 아니다’라는 엄재식 (원안위) 위원장의 발언은 무책임한 발언”이라며 “원전의 경제성은 안전 운전과 직결된 중대 사안이고 정책수행기관인 한수원이 오히려 조기폐쇄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2019.12.25
- 때문이라면 대리석이나 장판 위에 물을 뿌려도 그만큼 미끄러워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경험으로 잘 알고 있다. 그런데 물 대신 다른 액체가 있을 때는 빙판길만큼이나 미끄럽다. 바로 기름이다. 명절에 전을 부치다 보면 부엌 장판 위에 떨어진 식용유 때문에 바닥이 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대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2019.12.21
- 것을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절대적인 친밀감과 안정감을 선사하는 존재에 대한 갈망이 우리 인류에게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꼭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더라도 가족 같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행복을 나누는 따듯한 연말이 되길 바란다. 참고자료 ...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대표적이다. IV형은 흔히 지연성 과민반응이라고 하는데, 결핵이나 나병 같은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진정한 알레르기는 바로 I형이다. IgE 가 관여하는 즉각적인 과민반응이다. 콧물이 줄줄 흐르고, 재채기를 연신 뱉는다. 코 주변의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고, 결막도 붓고 가려워진다.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