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스페셜
"
인공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광합성계보다 훨씬 간단한 분자에서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인공
광합성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비운의 물리학자 알두스의 꿈이 현실이 될 날도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 단백질 조각을 디자인해 실제로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공
항체인 셈이다.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을 보면 언젠가는 독감예방접종을 맞는 연례행사가 추억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독감 바이러스가 이런 사람들의 대응책을 무너뜨릴 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월 23일자)에 실리기도 했다. 크로는 젊었을 때 정자를 보관해 뒀다가 자식이 필요할 때
인공
수정을 하는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크로는 비올라 연주 실력이 직업 연주자 수준이어서 45년 동안이나 매디슨심포니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세계적인 바이올린 연주자 예후디 ... ...
식물의 광합성 단백질 모사해
인공
안테나 단백질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온 광합성 시스템의 효율을 이기는 것은 쉬운 도전이 아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
광합성 안테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과장(02-2110-2370) 김기태 서기관(02-2110-2371)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서지원 교수(062-715-3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더 많이 만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인공
망막을 개발하려면 기계공학자뿐 아니라 안과의사도 필요하다. 이들의 만남은 거꾸로 카메라를 개발하는 데도 응용될 수 있다. 그는 이런 새로운 가능성 ‘공학과 생명과학’ 혹은 생명과학과 다른 영역의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대체해 단백질 신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
인공
항체 단백질 설계 기술은 진단이나 분석용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1998년~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교수 2003년~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
인공
장기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의료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추정하고 있다. 가령 바이오연료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새로운 기능의 생명체를
인공
합성하는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들을 보면 대부분 제약에만 몰려 있다. 국가적인 바이오 R&D 정책에서도 지금보다 폭넓고 다양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학계-산업계 부담 없는 소통의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연구하고 싶은, 평범한 연구원이 꿈”이던 그는 다시 연구원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인공
씨감자로 유명세를 타면서 사업단을 맡게 됐지만 잠시 손을 놓았던 본래의 모습, ‘감자 박사’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다. 정 단장은 “씨감자 연구로 감자농사의 녹색혁명을 일으키는 게 목표”라고 했다.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일이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깁슨 박사 연구팀은 이제 자유자재로
인공
생명체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한 걸까. 그렇지는 않다. 이제 시작 단계라는 것이다. 깁슨 박사는 “아직 생명체의 게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단 기존의 게놈을 그대로 복제한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