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역어였던 유비크(Ubykh)어는 지난 1992년 마지막 사용자가 사망하면서 사라졌다.언어의
규모
는 천차만별이다. 10억명 이상이 쓰고 있는 중국어가 있는 반면 인구 5백만의 뉴기니아섬에는 1천여개의 언어가 있다. 그런데 소수의 사람들이 쓰는 언어들이 없어진다고 해서 큰 문제일까. 미국 예일대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미 생활 속으로 파고들기 시작한 것이다. 2015년이면 전세계 나노상품의 시장
규모
가 1조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이런 와중에 한편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SF와 같은 미래를 제시하는 나노기술이 정말 실현 가능한지, 나노기술의 혜택을 보는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망원경을 천문 연구에 실제 활용하고 있다.최근 들어 켁 망원경보다 훨씬 큰 직경 30m-1백m
규모
의 초거대 광학망원경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 프로젝트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무인원격관측시스템과 무인로봇관측시스템 기술은 최근 여러나라로부터 첨단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국제 프로젝트. 국제 공동의 연구개발 사업으로는 국제우주정거장(ISS) 다음으로 큰
규모
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부지 유치를 희망하는 프랑스, 일본 등 전세계 6개국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순탄할 것만 같았던 프로젝트에 적신호가 켜진 것은 지난해말. 부지 선정을 놓고 참가국간에 갈등을 빚으면서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구의 이름은 ‘키네티크1’(QinetiQ1). 이 기구는 지금까지 제작된 유인기구 중에서 가장
규모
가 크다. 길이가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비슷한 3백81m다.고고도 비행용 기구는 일반 기구와 달리 지상에서 띄워질 때 완전한 구 형태를 갖추지 않는다. 높은 고도로 올라갈수록 대기압이 떨어져 기구가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송하는 대부분의 배는 비행기가 취항하지 못하는 단거리 노선에 주력하고 있다.엄청난
규모
와 호텔을 능가하는 편의시설을 자랑하는 호화유람선은 휴양시설로서 경쟁력을 갖는다. 호화유람선을 타고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것은 바쁜 현대인에게는 하나의 낭만적인 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우리 인간들이 이렇게 런던에 모일 일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거대
규모
의 진화는 소
규모
진화의 연장선상에 있지 않습니다. 생명의 역사에서 ‘우발성’은 피할 수 없는 운명입니다. 감사합니다.사회자: 강연 잘 들었습니다. 두분 모두 베테랑답게 강연 시간을 정확히 지켜주셨습니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계획인데, 산술적으로만 봐도 지난해 합성한 박테리오파지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
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세포 내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도 의문이다.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해밀튼 스미스 박사는 벤터 박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를 합성하는 동안 “70대인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방식의 만남들이 생겨난다. 새로 나온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응용제품을 실험하는 대
규모
실험장도 바로 DMS가 될 것이다.모든 미디어가 통합되면서 거리는 결국 사람들의 감성까지도 표현할 수 있는 거대한 파레트로 바뀐다. 크리스마스에는 모든 간판들이 빨간색과 초록색으로 반짝이고 대형 ... ...
파스퇴르연구소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네바스 박사가 내정됐다. 1백50여명의 한국과 프랑스 과학자들이 참여하는데, 단계적으로
규모
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과기부는 한국 파스퇴르연구소를 세계적인 연구소로 육성하기 위해 연구비와 우수인력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KIST 내에서 출범하지만, 5년 안에 독립된 공간으로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