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역어였던 유비크(Ubykh)어는 지난 1992년 마지막 사용자가 사망하면서 사라졌다.언어의
규모
는 천차만별이다. 10억명 이상이 쓰고 있는 중국어가 있는 반면 인구 5백만의 뉴기니아섬에는 1천여개의 언어가 있다. 그런데 소수의 사람들이 쓰는 언어들이 없어진다고 해서 큰 문제일까. 미국 예일대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망원경을 천문 연구에 실제 활용하고 있다.최근 들어 켁 망원경보다 훨씬 큰 직경 30m-1백m
규모
의 초거대 광학망원경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 프로젝트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무인원격관측시스템과 무인로봇관측시스템 기술은 최근 여러나라로부터 첨단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나뉘어 있는 말레이시아에는 열대우림을 간직한 정글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 가장
규모
가 큰 정글은 넓이 43만4천3백50헥타르에 이르는 ‘타만네가라’ 국립공원으로 파항, 켈란탄, 테렝가누의 3개 주에 걸쳐 있다.타만네가라의 정글은 템벨링강의 선착장에서 시작한다. 정글을 관통하는 보트를 타고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사람을 보내는 NASA의 방법은 막대한
규모
의 우주선과 복잡한 단계가 필요하다.먼저 짐과 거주시설을 실은 무인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내는데 성공하면 그 다음에 유인우주선이 가게 된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5천5백억달러로 추정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특명! 물을 찾아라 유인화성탐사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방식의 만남들이 생겨난다. 새로 나온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응용제품을 실험하는 대
규모
실험장도 바로 DMS가 될 것이다.모든 미디어가 통합되면서 거리는 결국 사람들의 감성까지도 표현할 수 있는 거대한 파레트로 바뀐다. 크리스마스에는 모든 간판들이 빨간색과 초록색으로 반짝이고 대형 ... ...
파스퇴르연구소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네바스 박사가 내정됐다. 1백50여명의 한국과 프랑스 과학자들이 참여하는데, 단계적으로
규모
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과기부는 한국 파스퇴르연구소를 세계적인 연구소로 육성하기 위해 연구비와 우수인력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KIST 내에서 출범하지만, 5년 안에 독립된 공간으로 ... ...
동식물 1백만종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유엔환경계획(UNEP)의 클라우스 퇴퍼 사무총장은 “생물이 대
규모
로 멸종하면 먹을 것과 집, 의약품 등을 자연에 의존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수십억명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인간 때문에 생물종이 멸종하고, 그 결과 다시 인간이 위험해지는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해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구의 이름은 ‘키네티크1’(QinetiQ1). 이 기구는 지금까지 제작된 유인기구 중에서 가장
규모
가 크다. 길이가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비슷한 3백81m다.고고도 비행용 기구는 일반 기구와 달리 지상에서 띄워질 때 완전한 구 형태를 갖추지 않는다. 높은 고도로 올라갈수록 대기압이 떨어져 기구가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송하는 대부분의 배는 비행기가 취항하지 못하는 단거리 노선에 주력하고 있다.엄청난
규모
와 호텔을 능가하는 편의시설을 자랑하는 호화유람선은 휴양시설로서 경쟁력을 갖는다. 호화유람선을 타고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것은 바쁜 현대인에게는 하나의 낭만적인 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계획인데, 산술적으로만 봐도 지난해 합성한 박테리오파지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
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세포 내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도 의문이다.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해밀튼 스미스 박사는 벤터 박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를 합성하는 동안 “70대인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