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알파인 스키와 달리 언덕이나 숲을 달리는 스키는 ‘크로스컨트리’라고 해. 평평한
땅
이 많은 유럽의 북쪽(north)에서 타던 스키라는 뜻을 가진 ‘노르딕 스키’의 대표 종목이야. 짧게는 10km에서 길게는 50km까지 눈길을 달리는 경기로 스키계의 마라톤이라고 할 수 있지. 크로스컨트리는 눈 위에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그래서 사람이 살고 있는
땅
을 가리키고 있어요.그림 왼쪽 아래에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아 책에 뭔가 열심히 쓰고 있는 사람은 유명한 수학자인 피타고라스예요. 피타고라스는 “수학은 현의 울림에서 나온다”고 말하며 음악과 수학 ... ...
[과학뉴스] “여름스포츠의 매력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것은 물의 부력과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땅
에 서 있을 때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과
땅
이 위로 밀어 올리는 수직항력이 같기 때문에 가만히 서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물에 서 있게 되면 중력이 훨씬 커서 가라앉을 수밖에 없죠.하지만 수상스키를 탈 때는 넓은 스키 판이 앞뒤로 기울지 않게 ... ...
나무 포유류의 조상 수미니아 제트마노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포유류가 아니라는 일부의 반응도 이해는 가요. 나무 위에 사는 진짜 포유류가 다시 이
땅
에 나타나는 건 지금보다 무려 1억 년이나 뒤의 일이니까요. 그러니 저에 대해 계속 연구해 주길 부탁해요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구해 줘!맹꽁이는 본래 농촌의 논 주변과 밭에서만 살았어. 그런데 요즘은 농약 때문에
땅
이 오염되면서 맹꽁이들이 새 보금자리를 찾아 도시로 오기도 해. 이번에 맹꽁이가 발견된 미사리 조정경기장이 있는 하남시처럼 농촌이 도시화되면서 맹꽁이들이 자연스럽게 서울 인근에 살게 된 경우도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얼음이 있었던 적은 드물었단다. 전세계 빙하의 85%가 남극대륙을 덮고 있어 그 안의
땅
은 잘 보이지도 않지. 이 빙하가 녹으면 지구의 모든 강과 호수를 합한 것보다 200배 많은 물이 된다고 해. 어마어마하지? 빙하가 많이 발달했던 고위도 지역에서도 빙기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 캐나다 로키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국립농업과학원 김광호 박사로부터 무전이 왔다.“명탐정 P! 일반 매미는 수년 동안
땅
속에서 지낸 뒤에야 성충이 되어 밖으로 나올 수 있어. 하지만 꽃매미는 10월경 나무에 알을 낳고, 그 알은 이듬해 5월이 되면 성충이 되지. 또한 한 번에 낳는 알의 숫자도 400~500개나 된다네. 다른 매미보다 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만약 이 골칫덩이 이산화탄소만 대기 중으로 날아가지 못하게 붙잡아 수천 년 동안
땅
속에 가둘 수 있다면 어떨까. 지구온난화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걸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CCS 기술이다.CCS 기술에 기대를 거는 건 소로스뿐이 아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이면 ... ...
달리면서 난다? CD 호버크래프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배, 호버크래프트를 실제로 만들어 보며 그 비밀을 알아보도록 해요.호버크래프트는
땅
과 바다를 오가는 ‘달리는 배’입니다. 그럼 비행기와 배를 합치면 어떻게 될까요? 그 결과물이 ‘나는 배’ 위그선입니다. 위그선은 위쪽에 날개가, 뒤쪽에 잘 빠진 꼬리가 달려 있기 때문에 언뜻 비행기처럼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올 예정이라고 열심히 설명한다. 예보관이 보여주는 기상사진에 위성으로 찍은 흐릿한
땅
과 그 위로 흘러가는 구름만 보인다면, 도대체 어디가 흐리고 어디에서 눈이 온다는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을 것이다. 다행히도 실제로 일기예보에 나오는 기상사진을 보면 위성사진 위에 지형도가 겹쳐 있어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