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곳은 한여름에도 고드름이 맺히는 얼음골로 유명하다. 얼음골은 이런 너덜지대에서만
발달
하고 있어 흥미롭다. 충북 제원군 금수산의 얼음골, 경북 청송의 얼음골 등지도 모두 너덜지대다.돌강과 너덜지대는 외형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돌이 이동한 방식에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열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본격적인 마이크로시대는 반도체 관련 기술의
발달
과 함께 열렸다. 손톱만한 칩위에 최대한 많은 회로를 올려놓기 위한 집적기술은 지난 수십년 간 눈부시게 발전했다. 오늘날에는 머리카락 두께의 수백분의 1 정도는 눈감고 만들어내는 수준이다.이처럼 미세기술이 계속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생득적이긴 하지만 언어능력은 기본적으로 두뇌가 커졌기 때문이거나 일반지능의
발달
때문에 부산물로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언어가 의사소통을 위해 자연선택됐다고들 하지만 저는 언어의 일차적인 기능이 ‘독백’이라고 봅니다.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일종의 정신언어인 셈이지요.핀커 ... ...
저작권 지키는 숨은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못 지킨다’고 디지털 콘텐츠를 복사하는 고성능의 복사기술이 점차 교묘한 방법으로
발달
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소유자들은 그들의 권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첨단기술을 필요로 했다. 첫번째로 선택된 기술이 암호기술이다. 그러나 암호는 전송 상에서만 콘텐츠를 보호해줄 뿐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수술을 원하지 않는다면 부모나 의료진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최근에는 의학의
발달
로 분리 수술 후 생존할 가능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수술할 수 있는 시기도 빨라졌다. 적절한 수술 시기는 결합한 신체 부위의 구조나 두 아이의 성장 속도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수술 시기를 지나치게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소리는 인간의 가장 근원적이면서 중요한 감각기간이다. 한 예로 인간은 다른 감각의
발달
이 미숙한 뱃속 태아 상태일 때부터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한다. 뱃속 아이에게 태교음악을 들려주는 까닭이다.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홈 시어터는 스피커를 여러개 사용해 현장감을 높이는데,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약물이 발전해 한번에 채취할 수 있는 난자 수가 늘어나고 있고, 수정 및 배양기술의
발달
로 잉여배아 수가 점점 늘고 있다. 특히 냉동배아는 시험관아기 수술 후 남는 잉여배아의 처리 문제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배아의 동결보존 생존율은 시술기관에 따라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시어도어 카진스키다. 카진스키는 하버드 출신의 천재 수학자로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
로 인해 인류의 문명이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경고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첨단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에게 폭탄 소포를 보냈으며 그로 인해 3명이 목숨을 잃고 23명이 부상당했다.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전사구에서 잘 자라는 갯그령도 지하경으로 번식하며 긴 뿌리를 갖고 있다. 이렇게
발달
된 사구식물의 뿌리와 줄기는 모래를 고정시키므로 사구 자체를 보호할 수 있다.해안사구 식물이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또다른 난제는 바닷물의 염분이다. 사구식물은 염분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뿐만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해답을 내놓아야 할 성질의 것은 아닌지 모른다. 어쨌든 21세기 초반에 신경과학의
발달
로 인해 기억과 관련된 뇌의 구조가 밝혀지고 기억 기능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이 파악될 터이므로 나노기술로 기억력을 회복시킬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만도 없을 것 같다.특히 ‘엑스트로피 인스티튜트’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