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힘을 고루 분산하지 못해서 불
안정
하다. 하지만 그에 반해 삼각형은 힘을 고루 분산하여
안정
된 형태를 갖는다. 이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 모양으로 짜서 구조물을 만들면 무거운 무게도 지탱할 수 있다.1기 과학해결사 예일초등학교 친구들의 멋진 상상력으로 힘들어 보였던 과제를 멋지게 풀어 낸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뒤 물을 냉각했다. 이때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공간에 수소가
안정
적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발견했다.이 교수는 “저장된 수소의 무게는 얼음 전체의 4% 정도”라며 “자연계에 풍부한 물을 이용해 수소를 대규모로 저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마당 서울모터쇼의 현장을 미리 공개한다. 한국차는 퓨전 바람차도 이젠 섞인다.
안정
감과 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무엇이 우선일까. 이번 전시회에서 국내 기업들은 일반 승용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혼합한 퓨전형 모델을 앞다퉈 선보였다. 이는 승용차의 미래를 예견할 수 있는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믿는 사람들조차 자연에는 빈 공간을 채우려는 경향이 있어 진공은 흔하지도 않고 불
안정
하다고 믿으며 그 이유를 설명하려고 했다. 그 중에는 영국의 화학자 보일도 있었다. 보일은 진공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공기의 탄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분명하지는 않지만 처음으로 공기가 빈 공간을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감당할 수 없어 일주일에 한번씩 상당량의 자동차용 충전지를 직접 날라야 한다. 게다가
안정
된 연구 조건이 아직 확보되지 못한 상태다. 필자를 포함한 우리 연구팀은 이런 어려움 속에도 최소한 5년 이상 대관령관측소를 운영해 우리나라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CO₂전쟁’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개발한 오이도 유전자변형 기술을 통해 만들어졌다. 인간의 EGF는 오이 속에서 매우 불
안정
하기 때문에 여기에 알부민이라는 단백질을 붙여 새로운 유전자를 만들었다. 이 유전자를 오이 DNA에 넣은 것이다. 이 오이를 이용하면 고급 화장품을 훨씬 싸게 만들 수 있다.이 사장은 “화장품은 의약품보다 ... ...
전구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속에 아라곤이 있는 것은 아니고요, 이름이 비슷한 아르곤 가스가 들어 있답니다. 이 아르곤 가스는 매우
안정
적인 비활성기체로 빛을 내는 필라멘트가 끊어지지 않게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해요. 영화 에서 프로도를 보호해 주던 늠름한 아라곤과 이름만 비슷한 게 아니라 하는 일도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기체로는 아르곤이나 크세논을 선택했다. 황산 용액은 점도가 높아 기포가 팽창할 때
안정
된 구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 잘 휘발되지 않기 때문에 기포가 팽창하더라도 그 속으로 기화되는 양이 극히 적다. 한편 아르곤이나 크세논 같은 불활성 기체는 단원자 상태로 존재한다. 이런 조건이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다. 또한 오작동을 일으킨 로봇의 센 힘이 환자와 주변 의사에게 해를 입히지 않도록
안정
성을 확보하는 문제도 남아있다. 경제적 측면에서 로봇 단가도 아직 상당히 비싸며 수요 시장을 예측하기 어려워 대기업들이 연구와 투자를 꺼리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하지만 향후 수술 로봇을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영국 유학시절에 생겼다”고 말했다. 그가 있던 대학의 한 유명한 교수가 갑자기
안정
적인 교수직을 그만 뒀다고 한다. 그 분야의 대가였는데 자신의 기술과 관련 있던 기업이 모두 중국으로 갔고 자신은 더 이상 영국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이유였다.“그때 왜 공학이 존재해야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