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확인
증거
확증
보증
검증
승인
뉴스
"
입증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백혈병 재발방지 방법, 韓日 공동 연구진이 찾았다
2015.08.25
한일 공동 연구진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동물실험을 통해 실제 치료 효과도
입증
했다. 항생제의 일종인 ‘세파드록실만’이란 약이 관련 효소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백혈병을 일으킨 실험용 쥐에 글리벡과 동시에 주사하자 백혈병 재발을 억제해 생존율이 최대 60%이상 높아졌다. 흔히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일으키는 주역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미생물이 당분을 에탄올로 바꾼다는 사실도
입증
했다. 1837년 독일의 생리학자 테오도어 슈반은 효모가 발효를 일으킨다고 제안했지만 거센 반발에 부딪쳤다. 효모발효는 19세기 말에야 널리 인정됐다. 슈반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그의 동료 프란츠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방법은 (문제 자체의 심각성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그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걸
입증
하는 일”이라는 말이다. 실제 회칙의 영향력은 대단해서 지구환경문제의 주범이면서도 해결책은 외면해왔던 미국의 경우도 오바마 대통령이 “이제 미국이 탄소감축과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을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드러났다. 1911년 뉴질랜드 태생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원자핵의 존재를
입증
했고 뒤이어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존재가 확인됐다. 즉 원자는 기본입자가 아니었고 어원에 충실한 진정한 원자는 전자와 양성자, 중성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 분수전하 도입해 도약 이뤄 ... ...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
2015.07.24
혈우병 환자에게서 얻은 세포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고친 뒤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연세대 ... 김동욱 교수는 “환자 본인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것만으로도 혈우병을 치료할 수 있음을
입증
한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가 걷는데 최적화된 상태가 아닐지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이를
입증
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즉 자동차 연구자들이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을 끊임없이 바꾸듯이 우리 몸도 에너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말이다. 물론 보행효율을 높이기 위해 ... ...
인공피부용 재료, 레이저로 간단히 제작
2015.07.19
제공 고 교수는 “여러 종류의 나노와이어를 하나의 기판 위에서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
했다”며 “나노와이어 기반 소자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고감도 센서 제작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6월 2일자에 실렸다 ... ...
“원세훈 전 국정원장 선거법 위반 판결 핵심은 디지털포렌식”
2015.07.06
전송 시간을 토대로 휴대전화 기록을 분석한 결과 본인이 맞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입증
할 수 있었다. 결국 2심 재판부가 해당 e메일의 증거 능력을 일부 인정하면서 원 전 원장은 선거법 위반으로 구속 수감됐다. 박 검사는 “현재 대법원에 e메일 헤더 분석 결과를 증거로 인정받기 위한 일반 ... ...
“환자가 동행인 정보 안줘서…” 의심환자 관리 또 구멍
동아일보
l
2015.06.24
때문에, 이 병원 이송요원인 137번 환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이 또한
입증
되진 않았다. 175번 환자는 지난달 25∼27일 경기 평택굿모닝병원에서 14번 환자에게 감염돼 13일 사망한 118번 환자의 남편. 175번 환자가 아내(118번 환자)와 계속 생활했고, 21일부터 열이 났다는 점을 감안할 때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세균은 콜레라와 관계가 없다.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의 기질이다”라며 자신의 주장을
입증
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자처한 것이다. 놀랍게도 엄청난 양의 콜레라균을 마셨음에도 페텐코퍼는 콜레라는커녕 배탈도 나지 않았다. 책에서 저자는 “제정신이 아니었던 페텐코퍼가 콜레라에 걸리지 않은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