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스페셜
"
국립
"(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치열하다. 미국의 경우도 금융위기로 인한 막대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 320억 달러(약 37조원)를 투입했다. 이웃 중국도 2011~2015년까지 5년 동안 400억 위안(약 7조원)을 바이오제약 업계에 투자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도 BT 분야 세계 7위 기술강국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기후가 아열대로 변하면서 나타날 타격에 대해 이 같이 답했다. 지난 9일 기상청과
국립
기상연구소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않고 지금과 같은 추세를 유지한다면 2050년쯤 한반도 연평균은 지금보다 3.2도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그렇게 되면 한반도 기후는 월평균 기온이 20℃가 넘는 날이 1년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인체자원은행’이란 명칭을 쓴다. 일부에서는 '조직은행'이란 이름도 쓴다.
국립
암센터에선 ‘종양은행’이라고 부르고 있다. 김 교수는 “다행히 최근 정부가 통합된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복지부는 2008년 서울 은평구 질병관리본부를 인체자원 중앙은행으로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대학원 물리화학과 석사 - 1982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구조결정학 박사 - 1982 미국 아르곤
국립
연구소 연구원 - 1985 미국 일리노이대 약학대학 겸임교수 - 1991 미국 듀폰제약사 단백질구조결정학연구그룹 책임자 - 2001 미국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사 단백질 구조결정학 및 분자설계연구그룹 책임자 - 2005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표본 확보와 DNA은행 설립을 통한 해양생명자원의 효과적 관리가 목적이다. 박 국장은 “
국립
해양생물자원관은 과학자들에게 ‘허브’이자‘클러스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생명공학이 다른 생명과학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박 국장은 해양이 갖는 ‘특수성’을 지적했다. 그는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경험 미숙으로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런 일을 최대한 줄이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연구개발(R&D) 정책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박 회장은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NIH Pathway to Independence Award(K99/R00)’ 같은 제도가 한국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제도는 박사후연구원이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회장은 지난해 비만과 당뇨의 연관성에 대한 2편의 논문을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잇따라 게재했다. 학술발표에 나선 계 박사도 지난해 12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 ‘셀 스템 셀’에 줄기세포에서의 마이크로RNA 발현을 주제로 논문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넓다. 국내 바이오 연구 분야를 보면 거의 대부분 미국이 이미 하고 있는 영역이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한 해 예산이 36조원이고, 세계 유수한 인재들이 미국에 몰려 있다. 미국이 부자 아빠라면, 한국은 가난한 아빠다. 대만 IT의 성공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대만은 미국보다 훨씬 뒤떨어지는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해야 할 연구가 BT 분야에 유독 많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BT 연구 대부분을 관리하는
국립
보건원(NIH)은 국회에서 예산 증액 필요성을 연설해 파격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는데 우리는 전체 R&D 예산 중 10%만이 각 부처 BT 연구에 분배된다”며 “성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BT 특성에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본인만 잘하면 지속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합니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 등 해외 선진국의 연구지원 체계가 대체로 그렇습니다. 생명과학은 연구성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예측 가능성이 특히 중요한 이유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