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들어오는 영양 성분이 중요하다. 먹이의 다양성이 몸속 미생물의 조성까지도 바꾸는
셈
이다. 베렌바움 교수는 “우리는 벌의 몸속 미생물이 무엇이며 먹이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모른다”며 “꿀벌의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단백질 생산을 막는 바이러스베렌바움 ... ...
우주 탄생 초기와 비슷한 은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사실을 확인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은하 가운데 우주 초기 상태와 가장 비슷한 은하인
셈
이다. 라스 매트손 교수는 “밀도가 낮은 이런 은하들이 서로 충돌해 밀도가 높아지면 별이 탄생한다”며 “이 은하를 통해 은하 사이의 충돌이 일어나기 전의 모습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무려 약 4점이나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 운도 점수를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가 된
셈
이다.2006년 미국 예일대 통계학과 존 에머슨 교수는 무작위로 심판의 점수를 제외한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는데, 월등한 점수로 1위를 한 이리나 슬러츠카야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는 제외되는 점수에 따라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앞사람의 뒤통수만 보면 뇌파 측정이 잘될지 안 될지를 상상하게 돼요. 직업병이 생긴
셈
이죠.”연구팀의 김원섭 박사는 웃으면서 연구 일화를 소개했다. 뇌파는 뇌의 활동에 따른 전기적 변화 또는 이를 측정한 결과를 말한다 ... ...
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단계씩 오르는 데 평균 450일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약 7년 만에 두 번째 부인까지 잃은
셈
이다.사대부 가문의 부인답게 관 속에서 나온 부장품도 고급이었다. 금실로 수놓은 옷, 옥으로 만든 노리개가 높은 신분을 증명했다. 소나무 관 자체도 일반 관보다 훨씬 크고 튼튼했다.한국미라는 여러 구가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시계나 아이폰을 새로 사지 말고 영화나 여행 티켓을 사라는 주장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셈
이다. 이 결과는 지난해 ‘성격 및 사회심리학 회지’ 1월호에 소개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서바이벌 오디션의 과학 - 경쟁하는 당신이 아름답다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Part 2.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개발 연구가 효과적이지 못했다”며 “이제 뇌세포를 시험관에서 연구하는 시대가 열린
셈
”이라고 덧붙였다.줄기세포까지 갈 필요 없는 직접교차분화2010년 2월 25일자 ‘네이처’에는 유도만능줄기세포 발표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큰 주목을 받은 연구결과가 실렸다.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를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기신호가 55mV를 넘어야 옆 뉴런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55mV가 바로 뉴런의 역치 인
셈
이다. tDCS에서 흘려준 전류는 이 역치 값을 낮춰 뉴런끼리 신호를 빨리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머리 회전이 빨라지는 것이다.tDCS가 머리에 전류를 흘리는 최초의 기계는 아니다. 1804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모터와 연결된 힘줄이 하나 붙어 있다. 손가락 3개는 이 힘줄하나로 움직이는
셈
이다. 이 힘줄을 당기면 손가락이 오므라드는데, T자형 금속판이 자유롭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 손가락은 집는 물체의 굴곡에 맞게 자연스럽게 오므라지는정도가 달라진다. 김 교수는 “저가의 로봇팔은 노약자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모든 입자는 힉스 입자를 통해서 질량을 얻어 우리가 보는 형태로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셈
이다. 아마도 이것이 노벨상 수상자이며 미국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 소장을 지낸 레이더먼이 힉스 입자를 자신의 책에서 ‘신의 입자(God Particle)’라고 부른 이유일 것이다(책을 읽어보면 진짜 이유는 더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