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는 약 8천개 정도가 알려져 있다.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이
숫자
는 약 3-4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서 기능을 조절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질환단백질은 현재까지 5백개 정도가 알려져 있다. 시중에 알려진 약의 대부분은 이 5백개의 질환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 ... ...
진화 속도 생각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시계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0.02s/s/Myr다. 이
숫자
는 한 지역에서 1백만년 동안 2% 정도 DNA에 변이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또한 모든 동물의 DNA 중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부위(HVRI)의 분자시계는 0.208s/s/Myr 정도였다.그런데 램버트 박사가 얻은 결과가 이보다 2-7배에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지만 패스트푸드에 찌든 미국에서는 요즘 상큼한 ‘석기시대 식단’을 찾는 사람들의
숫자
가 조용히 늘어나고 있다. 진화영양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은 수만년 전 석기시대 때 인류가 무엇을 먹었는지 연구하고 있다. 최근의 논문을 종합한 결과 이들이 먹었던 음식은 현대인의 음식과 판이하게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설명하지 않아도 이
숫자
가 인간의 체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이
숫자
만큼이나 인간의 체온이 단순할까.때때로 자신의 팔을 만져보면 따뜻한 정도가 항상 똑같지 않다. 인간은 항온동물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고 하는데, 왜 팔과 같은 인체 부위의 온도는 일정하지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멸종한 동물의 예를 들어보자. 공룡은 1억5천만년 전에 살았다고 추정된다. 처음 공룡의
숫자
가 많지 않았을 때는 넓은 초원에서 주로 초식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공룡이 번식해 그 수가 증가하면서 식물성 식품만으로는 식량이 부족해졌다. 공룡들은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곤충과 동물을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불과했으나, 현재는 에이즈 치료제 10여개가 FDA의 승인을 얻어 시판중일 정도로 그
숫자
가 늘어났다.이렇게 된 까닭은 항 HIV 치료제의 개발연구가 경쟁적으로 이뤄진 결과다. 미국의 경우 에이즈로 국민들이 죽어가는 상황에 직면하자 여러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에이즈 치료제 개발’을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대상을 구성하는 선의
숫자
로 이뤄진다. 복원 영상은 수많은 선들로 구성돼 있는데, 선의
숫자
가 많으면 많을수록 세밀하고 선명한 모습을 띤다. 하지만 무작정 전체 도면을 바탕으로 모델링을 하다보면 자료의 양이 방대해질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부분까지 복잡한 모델링 작업을 거쳐야 하기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글을 제출해 일정 점수 이상을 받아야 한다. 한해에 쓰기 과목을 배우는 대학생
숫자
가 전체 4천2백명 가운데 9백명. 졸업할 때까지 평균 한과목 정도는 수강하는 셈이다.대학에는 ‘쓰기 프로그램과’가 있으며, 여기에 소속된 교수와 강사가 29명이나 된다. 교수진은 소설가, 에세이작가, 시인,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하나의 카드에 복합시킨 카드를 시험적으로 운영하려 하지만, 그 경우에도 카드의
숫자
가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그렇다면 카드 한장으로 수많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할 순 없는 것일까. 스마트카드를 연구하는 수많은 전문가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사업자들은 개방형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달력을 봐야 알 수 있다. 그렇다고 고민하지 마시라. 대부분의 토정비결 책에서는 이
숫자
들을 정리해 표로 만들어 놨기 때문에 손쉽게 자신의 괘가 적힌 페이지를 펼칠 수 있다. 토정비결을 재미삼아 보면서 의외로 ‘점괘가 들어맞는데’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사실 이것은 점이 용해서라기보다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