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추격을 벗어난 채윤이와 수호는 낯선 아저씨에게 감사 인사를 했어요.“하하. 뭘….
위
험에 빠진 아이들을 구하는 건 어른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아저씨가 웃으며 말했어요.“그런데 아저씨는 우리와 같은 시대 사람인 것 같은데, 어떻게 이 게임 속에 있었던 거예요?”궁금해진 수호가 ... ...
Part 1.사라진 필즈 메달 편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얼른 가서 보여줘야 겠다”고 답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
해 “너무 닥달하지 않는 게 좋다”, “수학을 배우는 건 인생을 즐기는 방법 중 하나”라고 전했습니다.결국 ‘필즈 메달 도난사건’은 최초의 필즈상 재시상식으로 일단락됐습니다. 안타까운 사건이지만, ... ...
[에디터 노트] ‘보통의 여름’을
위
해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우리가 당연하게 누렸던 ‘보통의 여름’을 우리 아이들도 당연히 누릴 있도록 하기
위
해서는 무슨 일이든 해야 할 때다.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기후변화는 거짓(hoax)”이라며 파리협정을 탈퇴하고 과학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기후변화가 야기할 재난에서 ... ...
[과학뉴스] 아프리카 거대 구름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받아 하강하면서 만드는 ‘대기 중량파’를 꼽았다. 아프리카에서 불어온 육풍이 바다
위
안정적인 공기와 만나 형성된 대기 중량파가 구름을 섞고 증발시킨다는 것이다. 유터 교수는 “구름은 지구 온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구름의 변화를 ... ...
[과학뉴스] ‘日 귀요미’ 마리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낮이 반쯤 지났을 때 밝은 빛을 쪼였다. 그 결과 낮이 시작될 때 빛을 받은 마리모가 물
위
에 더 빨리 떠올랐다. 이는 일주기 리듬이 마리모의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2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8.05.09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 있을 겁니다. 더불어 명맥이 끊어진 전통 무늬 옷감과 금사 제작 기법을 되살리기
위
해 30년 동안 한 우물을 판 학자들의 노력도 기억해 주세요.최근에는 금실을 엮어 옷감을 만드는 게 아니라 전자기기를 옷감과 함께 직조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기술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핫’한 연구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막을 수 있다”면서도 “13년간 혼수상태였다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는 데 최소 연 단
위
의 재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체크포인트 3. ‘금손’ 되찾을 수 있나 쌩쌩한 몸 상태와 달리 여주인공의 두 손은 아직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여주인공 우서리는 촉망받던 천재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화재가 발생하면 차를 타고 있더라도 빠져나오는 데 1시간은 족히 걸린다.이를 해결하기
위
해서는 해저터널 중간에 대피로가 필요하고, 이런 대피로를 설치할 인공섬이 필요하다. 해저터널 중간지점의 대피로를 섬에 연결할 경우 비상시 해저터널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 터널 내 열차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나누기 어렵지만, 생물학적 수준에서만큼은 이분법이 가능하다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위
의 발견은 생물학적 성의 정의와 성의 유동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합니다 ... ...
‘아름다운 밤이에요’ 밤이 품은 진풍경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야생화 밭이 절경입니다. 별빛을 머금은 야생화가 꼭 전등을 킨 것 같습니다. 산
위
로 흐르는 은하수를 보고 싶었는지 고개를 갸웃하고 있네요. 시간의 흐름 야경 사진의 인기 피사체는 바로 ‘별’입니다. 셔터를 오래 열어놓고 있으면 별의 움직임이 전부 담기면서 별의 궤적이 멋진 동심원을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