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을 거야. 하지만 수학은 실생활에서 안 쓰이는 곳이 없어. 전화나 컴퓨터, 인터넷을 할 때도 모두 0과 1이라는 2진법의 도움을 받아. 휴대전화를 보면 통화할 때 10진법에 따라 숫자를 누르면 이 값은 2진법 코드로 바뀐 다음 음성이 전기신호를 타고 이동해. 이 신호를 받은 상대방 ... ...
- 책을 읽어 주는 똑똑한 반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글자를 또박또박 읽어 준답니다. 카메라로 글자를 촬영한 뒤 어떤 단어인지 인식한 다음,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으로 소리를 내보내는 원리이지요. 또 문장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서는 진동이 울리기 때문에 다음 문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핑거 리더가 단어와 단어를 이어서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감지하는 후각수용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센서와 냄새를 판단하는 뇌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지. 사람이 약 400개의 후각수용체를 가지고 있듯 다양한 화학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센서가 많아야만 냄새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어. 그래서 이를 개발하는 것이 전자코를 ... ...
- 잡힐 듯 말 듯 신기한 스케치북 속 3D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함께 있을 수 있고 우주에서 우주인들과 둥둥 떠다니는 체험을 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컴퓨터 기술 없이 펜 하나로 스케치북의 인물들이 튀어나올 것 같은 그림이 나타났어요!작가소개나가이 히데유키(永井 秀幸)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작가예요. 2012년부터 스케치북 두 개를 90°가 되도록 세워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수 있게 됐어요. 빗, 그릇, 바구니 같은 일상 용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비행기, 반도체, 컴퓨터 같은 기계나 정밀 부품에도 플라스틱이 들어 있지요. 게다가 옷을 만드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합성섬유도 다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랍니다.요렇게 뭉치고 조렇게 뭉치고플라스틱은 PET처럼 ...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계산한다. 사람이 카드 마술을 할 때보다 카드를 열어 보는 횟수가 평균 한 번씩 적었다.컴퓨터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한 결과 새로운 마술을 창조해냈다. 연구팀의 피터 맥오웬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증명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연구를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1977년 사람의 심장을 2차원 수리 모델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터로 방정식의 근사해를 구하면 심장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페스킨 박사는 최근 심장을 3차원 수리 모델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연구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자연 현상을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쪽 귀퉁이에 다가가 빙글빙글 공전만 하면 된다.진짜 그것만 해도 될까. 과학자들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지름 540m인 이토가와 소행성 바로 옆에서 3m짜리 암석을 든 우주선을 공전시켰다. 60일이 지나자, 티끌 같은 중력이 모여 태산 같은 소행성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작은 암석만으로도 ...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부분이 도왔기 때문인지 확인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실제 복도에서 들리는 것과 유사한 컴퓨터 음을 귀에 들려줘서 가상으로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가상 복도’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를 둘로 나눴다. 그 뒤 한 집단에게는 헤드폰을 씌우고 몸과 머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오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봉천고개를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사람들이었다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