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붕괴
파손
분쇄
파산
황폐
철거
d라이브러리
"
파괴
"(으)로 총 2,5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부트섹터에 있는 정보를 삭제한다. 이때 디스크속의 파일위치를 적어놓은 주소정보도
파괴
된다. 따라서 부팅(컴퓨터를 켜는 것)이 잘 되지 않고 부팅이 되더라도 디스크속의 파일을 찾아낼 수 없다. 즉 디스크속의 모든 파일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날짜에 부트섹터만을 삭제하므로 이에 대한 ... ...
방사능 피해 α입자가 문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영국의 과학자들은 방사선이 어떻게 세포를
파괴
해 나가는지 그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영국 디드코트에 있는 의학연구소의 전파생물학(radio biology)팀은 방사선 중에서도 밀도높게 이온화되는 알파(α)입자를 중심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α입자는 이온화의 밀도가 낮은 X선이나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과다복용하면 우리 몸안의 체액조절의 양대산맥인 칼륨(K)과 나트륨(Na)의 평형이
파괴
된다. 즉 저칼륨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렇게 체내 전해질의 평형이 깨지면 심장쇼크사를 유발할 수 있다. 때로는 약한 설사약이라 할 수 있는 변비완화제가 비만억제약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이 약을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그많은 새들이 찾아온다는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지요. 이런 천혜의 서식지가 점차
파괴
돼 철새수가 준다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현상입니다.천태오 저는 철새도래지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어떤 경로를 택해오느냐에 따라 서식지가 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또 서식지의 조건으로는 먹이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붙였듯이 쌍으로 보이는 '요인'들을 갖고 있다고 판단했다. 멘델은 '열성' 유전요인이
파괴
되는 것이 아니라 감춰져 있다가 다음 세대에서 나타남을 발견했다.1888년 염색체가 폰 발데이어씨에 의해 이름지어졌을 때는 아무도 그것의 구성요소들을 몰랐으나 후에 이 염색체는 멘델의 '요인'들과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수천㎦의 유량을 갖고 있는 두개의 거대한 호수가 존재했다고 한다. 그후 배사구조가
파괴
되면서 엄청난 물이 터져 나와 격변적으로 대협곡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노새타고 관광하기도이들은 격변적 침식이 짧은 시간에 대규모 협곡을 만들 수 있다는 증거를 워싱턴주의 세인트 헬렌산에서 찾고 ... ...
「고삐 풀린 망아지」 옛소련 핵무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떨어진 1Mt의 핵폭탄(히로시마에 투하된 것보다 약 80배에 이르는 성능)세발 중 두발이
파괴
돼 핵물질이 흩어졌으나, 방사능 오염은 발생했어도 핵폭발은 일어나지 않았다. '안전열쇠'는 물리적 충격에도 결코 풀리지 않음이 증명된 것이다.핵무기의 열쇠는 크게 두분야로 나뉜다. 하나는 '발사명령'의 ... ...
암컷은 타고난 전략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몸집이 크고 힘이 세다. 암컷은 다른 암컷의 알을 지키고 있는 수컷을 공격, 알을
파괴
해버린다. 어떤 때는 알의 일부를 먹어버리기도 한다. 알을 강탈 당한 수컷은 별도리없이 그 암컷과 교미, 거기서 얻은 알을 지킨다.참새의 일부와 물장군 암컷은 여히튼 다른 암컷의 새끼를 죽여 수컷이 자신의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α2는 U(1)의 결합상수 1보다 크다. 양성자 붕괴 구속조건으로부터 SU(5) 대칭은 자발적으로
파괴
돼 아주 작은 거리 L에서 SU(3) X SU(2) X U(1)로 변한다. 강력 약력과 전자기력은 하나의 식인 SU(3) X SU(2) X U(1)으로 기술된다. L은 약 ${10}^{-29}$㎝ 이며 SU(5)의 대칭은 이 거리 규모에서 분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통해서 그 과정은 빗방울을 거의 형성시키지 못하거나 식물이 원하는 크기보다 휩씬 큰
파괴
적인 비를 만든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후 여러가지 실험을 거치면서 파이프 끝에 연결된 수도꼭지에서 안개처럼 뿜어지는 물방울을 핵으로 삼아 형성되는 비를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또 냉각코일을 이용,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