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장"(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과제관리시스템 등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기업 현장을 개방해 새로운 산학연 협동체계의 틀을 구축할 계획이다.사업단의 과제는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각 과제의 명칭은 테라급 나노일렉트로닉스(1천배 이상 메모리 집적도와 속도를 갖는 소자 개발), ...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독일은 폐플라스틱, 폐자동차 등을 수집해 재활용하는 기술이 뛰어난데, 이단장은 이런 현장을 직접 찾아가 사업단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를 얻을 생각이다. 특히 독일은 폐식용유를 이용해서 바이오디젤유를 만들어 차량연료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다.쓰레기를 모두 자원으로 바꾸고자 ...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있다.자연의 생명체에서 배우는 최첨단 로봇 시스템 제어 연구를 살펴본다.다양한 산업현장에 실제 사용되는 로봇은 우리가 공상과학영화나 소설에서 보고 꿈꿔왔던 로봇들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들은 공장 안에서 일하기 싫다는 불평 한마디 없이, 사람이 그만 두라고 전원 스위치를 내릴 ...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비결은 바로 실험을 중시하는 분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책상에서 하는 연구보다 실제 현장에 적용해 직접 체험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말이다.박단장은 유학 시절부터 치열한 생존경쟁의 단편을 경험했다고 말한다. 3백명이 넘는 거대 조직 속에서 학생이면서도 학교에서 느낄 수 없는 험난함을 ...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명성이 대단하다. 지난 1999년 우리나라의 무궁화 위성 3호가 지구정지궤도에 올려진 현장도 이곳이었다.우리 주변의 중국과 일본만 해도 여러 곳의 우주센터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은 서창, 지큐안, 타이유안, 해남 우주센터를 확보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은 고비사막에 위치한 지큐안 ...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건 모르지요. 새벽녘이 되자 난데 없이 문이 벌컥 열립니다. 헤파이스토스가 둘의 간통 현장을 급습한 것입니다.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황급히 일어났지요. 그러나 침대 위에서는 사지가 자유로운데 침대에서는 한 발짝도 벗어날 수 없었어요. 어느새 눈에 보이지 않는 헤파이스토스의 그물에 갇혀 ...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기뻐서 울고, 안타까워서 울고, 감격해서 울고….지난해 역사적인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현장 스케치다. 상봉 당사자들은 벅차오르는 가슴을 쓸어안고 수십 년만의 만남을 기뻐하면서 감격의 눈물을 흘렸으며, 짧은 상봉 후 맞이하게 된 헤어짐의 아쉬움으로 또다시 고통의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것 이상으로 빠르게 현실로 다가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권교수_ 가상현실의 3요소는 현장감, 현실감, 몰입감인데요. 현재 단계에서는 피드백 장비들이 그렇게 발전돼 있지 않고, 후각 정도만 발전됐을 뿐 미흡합니다. 또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를 20분 이상 쓰면 쓰러지게 되죠. 이를 해결하기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그의 도전정신과 실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2001년 2월 12일에 있었던 셀레라의 게놈발표 현장에서 벤터박사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는 이 시점은 세계의 모든 과학자들에게 아주 특별한 시간이다”며, “셀레라의 정확한 연구결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앞으로 인간의 불치병과 난치병을 ...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관심 이동DNA가 건축설계사무소에 보관돼 있는 건물 전체의 설계도라면 mRNA는 실제 공사현장에서 해야할 작업을 알려주는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DNA는 세포핵 안에 남아 있고 유전자 정보를 지닌 mRNA가 세포핵을 빠져나가 세포질 안에서 단백질을 만들기 때문이다.유전자수가 3만여개로 예상보다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