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5,4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04
가정해보자. 물의 흐름을 1초만 그대로 재현하는데도 펜티엄4 프로세서의 개인용
컴퓨터
로 100년이 걸린다.내일의 날씨를 예측하는데 걸리는 계산시간이 24시간을 넘는다면 그 결과는 무용지물이다. 그러므로 현실적으로 비교적 큰 격자 구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구간의 크기가 커질수록 예측 ... ...
손바닥만한 슈퍼
컴퓨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어요.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최장욱 씨(박사 과정)는
컴퓨터
에 쓰이는 디(D)램 메모리 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실리콘 대신 유기물질을 이용해 반도체를 만들었어요. 지금 반도체는 오래 사용하면 열이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04
휴대용 전화로 호출하면 이 신호는 무선파를 타고 가까운 셀중계국으로 가는데,
컴퓨터
로 제어된 중계국이 이 무선신호를 이동서비스교환센터로 보내 정규의 공중전화망에 연결해준다 그리고 셀간을 이용할 때는 그 해당 셀중계국에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인계해주기 때문에 끊김이 없이 계속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200704
만들고, ‘안트라사이트’라는 석탄분을 사용해 모래를 대신했다. 이같은 실험방법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모래톱의 변화를 사실에 가깝게 재현할 수 있다.물의 양과 모래톱 모양을 다양하게 바꿔가며 실험한 결과 상류에서 모래를 적게 공급했을 때 모래톱이 사라지고 ... ...
암호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0704
뚫기 위한 창도 속속 개발되고 있는데, 아무리 큰 수라도 소인수분해를 척척 해내는 양자
컴퓨터
가 2020년경이면 등장할 전망이다. 한가지 확실한 점은 새로운 암호를 만들고 푸는 과정에서 인류의 과학기술이 한걸음씩 진보한다는 사실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 대한민국 수학 부활 ... ...
수학의 날개를 단 '김연아'
과학동아
l
200704
방정식의 해를 찾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계산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
를 병렬로 연결해 사용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이 등장했다.수학의 날개를 달고 더 높이 비상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김연아는 과연 알고 있을까.푸리에변환복잡한 파동을 사인과 코사인을 조합한 단순한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04
꿈만 같은 모양이다.요즘 뜨는 3세대 휴대전화, 현대인의 필수품이 돼버린 노트북
컴퓨터
, 고화질 영상으로 가정을 극장으로 만든 홈시어터, 막히는 길의 지루함을 달래주는 대형전광판. 이들은 모두 세상의 지식과 정보를 ‘당신’과 연결해주는 디지털 창이다. 이렇게 세상의 창으로 불리며 각광을 ... ...
3차원 가상공간에서 수다 떤다
과학동아
l
200704
보도했다.지금까지는 의사소통을 하려면 키보드를 두드려야 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컴퓨터
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달면 사용자들끼리 자유롭게 육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됐다.린든 랩은 자신과 멀리 떨어진 캐릭터일수록 대화를 나누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넣을 예정이다. 원거리에서는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04
수IBM이 85년 인텔802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써 만든 16비트 퍼스널
컴퓨터
현재 세계 퍼스널
컴퓨터
시장은 XT에서 AT로 그 주류가 옮아가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세계의 표준기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속도는 6Mhz에서 최고 20Mhz까지 다양하다스타트렉에 나오는 기술로 2360년대에 구현되는 실제적인 가상현실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04
1998년 미국 미시간대의 토마스 헤일즈가 증명했다. 헤일즈와 그의 제자는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를 돌려 250쪽이 넘는 논문과 3기가바이트에 이르는 데이터 파일을 얻고서야 증명에 성공할 수 있었다.그런데 케플러의 추측을 증명했다고 먼저 주장한 수학자가 있었다. 중국의 시앙우이가 그 주인공.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