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소화불량에 걸리기 쉽다. 소음인은 원래 살이 잘 찌지 않는 체질이지만 소화기관의
기능
이 떨어지면 몸이 붓는 경우가 있다. 맹 원장은 “소음인은 소화기관을 따뜻하게 만드는 인삼차나 대추차를 자주 마시면 붓기를 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화됐다. 바뀐 아미노산이 실제로 단백질의
기능
을 변화시켰음을 암시하는 결과다.기저핵은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면에 해당하는 부위로 이곳의 회로는 언어처리와 관련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 책임자인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 류학연구소 볼프강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신호를 뇌가 무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
을 하지 못하면 포만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이런 현상을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지방을 많이 함유한 음식을 먹을 경우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튀는 돌멩이도 거뜬히 촬영할 수 있을 거라는 얘기다.정지 영상으로 이 카메라의
기능
을 전환하면 초당 3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체 촬영 때 아무도 눈을 감지 않은 사진을 앨범에 끼울 수 있다. 눈을 감았다 뜨는 속도보다 촬영 속도가 빨라서다.업계 일부에선 “광학기술은 197 ... ...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어떤 구조로 배열돼 있는지 파악한다. 과학자들은 몸속에 있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을 알아내거나 화합물을 분석해 신약을 개발하는 데 NMR 덕을 톡톡히 봤다.하지만 NMR장치에도 한계가 있다. NMR장치로 고체 시료를 분석하려면 액체나 기체 시료와 달리 물 같은 용매에 녹이거나 가열시켜 액체 ...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문제인가 의아해하고 있을 때 배 교수가 입을 열었다."우리나라 수학 교육의 문제점은
기능
만을 가르치고 있다는 겁니다. 중학교에서 함수값을 구하건, 고등학교에서 미분값을 구하건 그게 무슨 상황인지를 알아야죠.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그게 어떤 상황인지도 잘 모르는 상태에서 단순 계산법만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기술을 적용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환자들은 모두 이식받은 췌도가 정상적인
기능
을 발휘해 혈당수치가 낮아졌다. 그 가운데 2명은 더 이상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아도 될정도로 회복됐다.이종장기이식이 현실화될 경우 가장 먼저 혜택을 받게 될 질병은 당뇨병일 가능성이 크다.당뇨병의 ... ...
웃는 순간, 눈 깜빡임 하나도 놓치지 않는 VLUU WB500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촬영을 부탁할 때 자신이 원하는 구도를 정해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프레임 가이드’
기능
도 있다. 삼성디지털이미징의 기술력이 집약된 WB500만 있다면 누구나 손쉽게 ‘쨍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편집자주‘VLUU WB500’을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000분의 1초마다 측정하고 영상화시켜 뇌신경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기다.기존의
기능
성 자기공명영상장비(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장비는 각각 2초, 60초에 1번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이라 빠르게 변화하는 뇌신경 활동을 담기가 어려웠지만, 뇌자도는 초당 1000~1만 번 정도 영상을 얻어 뇌파가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퇴근하고 싶다”와 같은 혼잣말이 넘치고 있다는 뜻이다.트위터가 1인 미디어로서
기능
할 것이라는 일부의 희망 섞인 전망을 부정할 수 있는 결과인 셈이다. 하지만 지금껏 한국인들이 경험한 적 없는 빠른 정보유통 속도, 개방적인 소통 구조에 대한 높은 평가는 여전하다. 아직 본격 상륙하지 않은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