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코로나19 중증환자, 호중구 보면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의과대학원 이흥규 교수팀이 면역세포인 호중구로 코로나19 중증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9월 7일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들의 기관지 폐포에 있는 세포들의 유전 정보를 분석했는데, 중증환자의 기관지에는 호중구가 과도하게 증가해 있었어요. 호중구는 백혈구 중 50~70%를 ... ...
- [탐험대학] 공학자의 태도로 끝내 완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과학자의 차이는 무엇?자율주행차를 만들기로 한 8월 22일, 기자는 다시 탐험대학 학생들을 만나 그동안 배운 것 중 어떤 게 가장 도움이 될 것 같은지 물었어요. 김현성 학생은 “공학자가 갖춰야 할 태도”라고 답했어요. 실제로 장혁 멘토는 “공학자의 탐험은 과학자와 달리 관찰하는 데서 그치지 ... ...
- [가상인터뷰]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두개골이 충격을 잘 흡수하는 구조라는 연구 결과를 올해 2월 밝혔거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조안나 맥키트릭 교수와 정형외과 정재영 박사는 딱따구리 두개골의 구조를 분석해 봤어. 그 결과 다른 새들보다 뼈에 미네랄이 더 많이 축적돼 있어서 훨씬 단단하고 강하단 사실을 밝혔지. 또 뇌를 ...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보건복지부는 2024년에 새로운 ‘공공의대’도 설립하겠다고 발표했어요. 폐교된 서남대학교 의대 정원 49명을 활용해 국가가 필요로 하는 필수 분야의 의사를 키우겠다는 의도였어요. 하지만 대한의사협회측은 “일이 힘들지만 대가가 적고, 의료사고 위험이 높은 흉부외과, 산부인과 같은 ... ...
- [과학뉴스] 자발적으로 춤추는 액체 방울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위에서 춤을 춰요. 외부에서 가하는 힘이 없이도 스스로 움직이는 거지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응용 및 공학과학과(SEAS) 연구팀이 액체 방울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를 하다 발견한 현상이에요. 지난 8월 19일 연구팀은 이 물방울이 춤추는 원인을 밝히고 ‘스스로 춤추는 액체 방울들’이라는 ... ...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하는데, 이 과정을 거쳐야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고 알려주었죠. 탐험대학 학생들이 보존 과정을 체험하니 어느덧 오후 6시. 정동건 학생은 “TnT로 분기도를 그린 수업이 가장 신기했다”며, “공룡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어요. 박진영 연구원은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영화 시리즈의 ‘배너 박사’는 평소엔 온화하다가 분노가 극에 달하면 초록색 괴물 ‘헐크’로 변합니다. 지난 화에 이어서 소개할 ‘강한 핵력’도 마치 헐크 같아요. 핵분열이나 핵융합 반응으로 때로는 무서운 원자 폭탄이었다가 때로는 지구의 생명을 기르는 햇볕이 되거든요. 강 ... ...
- SOS! 예술품을 구해줘, 보존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Part3. 과학 기술로 문화재를 지킨다!Part4. 영상에 새 생명을! ※도움 및 사진한경순(건국대학교 회화보존학과 교수), 김유진(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학예연구사), 김정흠(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보존과학자), 이슬(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a과 연구원), 강소영(국립문화재연구소 ... ...
- [만화뉴스] 코로나19, 동물들도 걸릴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 진화생태학과 해리스 르윈 교수팀은 410종의 척추동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코로나19에 취약한 순으로 분류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동물과 인간의 ‘ACE2’ 단백질에 주목했어요. 코와 입 등에 분포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ACE2 단백질은 25개의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농약이나 축산 폐수로 예상했어요.무당개구리의 서식지와 기형 정도를 확인하고자 목포대학교 생명과학과 무당개구리 연구팀과 시민과학자들이 함께 출동했습니다. 시민과학자들은 무당개구리 기형의 형태, 연구 가설, 실험 방법 등에 대한 온라인 사전 교육을 받았어요. 기다리던 첫 번째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