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기압의 초저온, 초고압 환경에서 광택을 보이는 금속 상태의 수소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7년 2월 17일자에 발표하며 수소의 1족 분류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 doi:10.1126/science.aal1579또 지난해 3월에는 트리스탄 기요 프랑스 코트다쥐르천문대 책임연구원이 ... ...
- [과학뉴스] 토성의 하루는 10시간 33분 38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입자들도 움직였어요. 연구팀은 고리의 한 지점에서 이 진동을 기록했고, 일정한 규칙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이 규칙을 토대로 토성의 하루 시간이 10시간 33분 38초라고 결론 내렸답니다. 카시니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NASA의 린다 스필커 박사는 이 연구에 대해 “고리의 파동을 이용해 토성의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용해 원소 이름을 적었다”고 설명했다. 3조는 원소 이름 옆에 원소를 발견한 사람과 발견 연도를 함께 넣어 주기율표에 역사적인 의미도 더했다.이외에도 원소를 동물 이름과 짝지은 주기율표, 우리나라 지명을 이용한 주기율표, 원소의 이름과 기호를 이용해 분류한 주기율표 등 총 7개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예견했고, 그로부터 16년이 지난 1964년 실제로 마이크로파 대역의 전파(우주배경복사)가 발견돼 그 예견이 입증됐습니다. 빅뱅 이후 원소는 어떻게 생성됐을까?그렇다면 알파베타감마 논문은 빅뱅 우주론의 증거로 현재의 원소의 기원을 어떻게 설명했을까요?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일반 물질은 ... ...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2006년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RNA 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드로셔(DROSHA)’ 단백질을 발견했다. 10년 뒤인 2016년에는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까지 처음으로 밝혔다. 마이크로RNA 연구를 20년 가까이 선도해온 공로로 최근에는 ‘네이처’가 선정한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도 뽑혔다. 201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모든 구간에서 연속인데 어느 점에서도 미분할 수 없었던 겁니다. 바이어슈트라스의 발견 후 수학자들은 다른 반례들을 찾아내기 시작했고 블랑망제 함수는 그 중 세 번째로 찾은 반례입니다. 언뜻 보기에 부드러운 곡선으로 보이는 블랑망제 함수는 사실 확대해서 보면 모든 점이 뾰족뾰족한 ... ...
- Part 2. 놀이 대상이 아니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늘리기 위해 양식 산천어를 영서 지방에 방류한 것으로 안다”며 “환경영향평가에서 발견된 산천어가 축제장에서 빠져나간 것인지 아닌지 알기 어렵다”고 반박했지요. 문제 2 - 맨손잡기, 동물학대 논란! ‘산천어 맨손잡기’는 산천어 축제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꼽혀요. 무릎 높이 정도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광석과 같은 산화금속을 태우면 광석이 산소 기체를 내보낸 뒤 깨끗한 금속이 된다는 걸 발견했거든요. 나중에 과학자들이 이 과정에서 금속 원자가 전자를 얻는다는 사실을 깨달아 ‘환원’은 전자를 얻는 모든 반응을 의미하게 됐답니다. 만약 자물쇠가 녹슬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 ...
- [과학뉴스] 염소 크기만한 티라노사우루스 사촌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티라노사우루스는 공룡이 멸종할 때까지 육상의 지배자로 군림한 거대한 육식 수각류 공룡이다.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은 약 1억5000만 년 전에 출현해 점차 몸집을 키워 약 8000만 년 전에는 길이 약 12m, 무게 약 4t(톤)의 티라노사우루스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간 이들이 어떻게 이렇게 몸집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50대 파킨슨병 환자의 뇌 12개 부위에 이식했다. 현재까지 환자에게서 별다른 이상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제 출시가 다가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도 새로운 시장을 찾아 뛰어들고 있다. 일본의 다이닛폰스미토모제약은 2018년 3월 오사카에 유도만능줄기세포를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