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처럼 정삼각형 군과 소용돌이 육각형 군은 다른 대칭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런 여러 구조가 가진 대칭의 성질을 문자와 기호를 통해 수학의 언어로 표현해 연구하는 것이 군론입니다.아직도 풀리지 않은 문제그렇다면 정삼각형 군, 소용돌이 육각형 군 말고도 6개의 원소를 가진 다른 군이 또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각자가 원하는 요리를 만들고 있다. 미적분으로 함께 성장한 Limes 동아리원들이 앞으로 여러 분야로 진출해 미적분을 고안한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만큼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접착제 없이 물건을 착! 붙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실제로 개발되었어요.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종린왕 교수팀이 개발한 이 발전기는 여러 겹의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 필름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면 필름 사이에서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생기는 거죠. 이 발전기를 적용하면 앞서 얘기했듯 사람이 걸을 때는 물론이고, 바람에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인간의 오감으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검사 참가자의 대부분이 지방맛을 느끼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마블링이 고기의 풍미*, 조직감*, 다즙성*에 고루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조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은 태양전지판을 30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여 여러 줄로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정진우 건기연 녹색건축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은 “태양전지판을 ‘ㄴ’자 모양으로 만들어 계단형으로 설치하면 오전에는 세로축에서, 오후에는 가로축에서 태양전지판의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본인의 게놈을 해독하기에는 그 비용이 만만치 않고,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여러모로 아직은 조금 이르다고 생각한다. 그날이 올 때까지 게놈아시아 100K의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게놈 데이터에서 발견된 유전 변이의 빈도를 집단별로 공개해 민족마다 유전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로봇학부 3학년)는 “남자들이 많은 업계에서 일하는 데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여러 선배들의 경험담을 듣고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이체은 씨(한동대 전산전자공학부 3학년)는 “평소 진로에 대한 고민을 나눌 기회가 적었는데, 토크콘서트를 통해 선배 여성 공학인들과 대화를 할 수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설계는 러시아가, 건설은 한국이 담당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발사대는 나로우주센터의 여러 시설 가운데서도 착공이 가장 늦었고 진척도 느렸다. 나로호 발사 운용을 위한 기본시설인 주요발전기 등 전기통신장비와 터보냉동기 등 기계장비는 2006년 말에 이미 설치가 완료된 반면, 발사대, 조립동 ... ...
- [연재작 출간 기념 책수다]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엮은 것을 기념해 ‘책수다’를 열었다. 다솔 작가님께 처음 만화를 하자고 했을 땐 여러 기획이 있었어요. 그중에서 ‘숙녀들의 수첩’을 하자고 한 이유가 있나요?갈로아 만화를 그리는 게 힘드니까 기왕 하는 거 메시지가 확실한 걸 하고 싶었어요. 두 주인공 중 하나인 마리아 아녜시는 세계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추측처럼 함수의 결괏값이 불규칙적으로 크게 왔다 갔다 하는 함수에 관한 메모가 여러 개 남아 있었습니다. 하지만 ‘콜라츠 추측은 이런 거야’ 하고 분명하게 적혀 있진 않았습니다. 1950년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 참가한 콜라츠가 콜라츠 추측을 수학자들에게 말로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