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행
한 무리
초단
일대
일동
동아리
조
d라이브러리
"
일단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단계로 작용유체를 만드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여기에서는
일단
불활성가스가 1차 작용유체 역할을 하면서 액체금속을 실어 나른다. 액체금속이 터널을 통과한 후에는 아직 가스 가운데 남아 있는 열을 회수시스템에 의해 회수해 재이용한다(그림1).이 2단계 시스템을 미국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척후 헬리콥터, 또는 지상요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헬리콥터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일단
목표물의 가시권 안에 도달하면 시속 1천2백80㎞의 고속으로 레이저 광선을 따라가며 기존의 탱크 중이 막강한 탄두를 피하거나 저항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한다.북한북한에서는 스커드 시리즈 사정거리를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이러한 점에서 그의 이론은 가설연역체계라고 하는 과학이 갖추어야 할 형식 요건을
일단
만족시킨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한 이론이 현실적인 과학이론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설연역체계의 형식을 취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것은 또한 이것과 기존 이론들 사이의 정합성의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사용자의 필기체를 컴퓨터가 제대로 기계적 언어로 바꾸지를 못하는 것이다. 또한
일단
사용자의 필기체를 기계적으로 읽은 후 반응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은 1세대 PDA(개선의 여지가 많으므로 1세대라고 칭할 수밖에 없다)가 아직 완벽하지 못하다는 한 예가 될 것이다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각을 했다. 과학자들에게 가장 잔인한 짓은 '호기심을 갖지 말라'고 강요하는 것이다.
일단
궤도에 오른 연구는 가속이 붙기 마련이다. 호기심을 제어할 어떤 브레이크시스템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가 어떤 것일지라도. 당시의 물리학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점점 가공할 파괴력을 가진 ... ...
생물- 포도껍질로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물들일 때 사용하던 백반을 써도 괜찮습니다.명반은 찬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더운 물에
일단
녹인 후 사용해야 합니다. 약국에서 파는 명반 한 봉지(2백g)의 약 5분의 1 정도면 적당한 양입니다.옷을 30분쯤 명반에 담근 다음 꺼내 물기를 짜내고 다시 포도껍질 끓인 물에 넣어 20분 정도 삶아줍니다. ... ...
반도체 소재 기술 '고순도 다결정 실리콘' 새공정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독일 박커 케미트로닉스사와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수출로 동부제강은
일단
상업화 기술료로 3백84만 달러를 받았고 앞으로 매출액의 2.5%를 로열티로 지급받는다.KRICT/Dongbu 공정이라 명명된 이 기술은 현재 미국의 에틸(ETHYL)사가 모노실란 (SiH4)을 원료로 독점 생산중인 입자상 다결정 ...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열하면 분자운동이 더욱 빨라지며, 분자운동을 빠르게 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고
일단
가속화된 분자들은 자체의 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열은 에너지이기 때문에 난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 다른 에너지 형태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석탄이나 석유 같은 연료들은 연소돼 화학적 에너지를 ... ...
멸종 천연두바이러스 보존결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지구상에서 영원히 말살한 것인가, 보존할 것인가 하는 논쟁이
일단
막을 내렸다. 천연두바이러스 일부가 연구용으로서 보존되게 된 것.현재 지구상에 남아있는 천연두바이러스는 미국 애틀란타 질병센터에 보관된 4백 50주와 모스크바의 바이러스연구소에 보관된 1백50주뿐. 1980년에 세계보건기구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그 뒤로는 계속 관측할 수 있었다. 리겔 관측은 날씨의 영향도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일단
관측에 성공하고 나면 두번째부터는 눈이 숙련되어서인지 좀더 쉽게 관측이 되는 것 같다.고물자리는 카파성과 처녀자리의 감마성 포리마는 망원경 시야에 넣는 것부터 쉽지 않다. 성도상의 위치와 몇번의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