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정호의 옥사 이야기는 일제의 조작과학동아 l2003년 04호
- 실학자 홍대용에 관해서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홍대용은 직접 서양의 천문학과 수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인물인데, 동아시아 최초의 지전설(지동설) 주창자로 지목받는 것은 잘못이다. 이미 60여 년 앞서서 김석문이 지전설에 바탕을 둔 우주론을 제시한 바 있었기 때문이다. ...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과학동아 l2003년 03호
- 것이다우주공간에서 천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1파섹은 326광년으로 1AU(천문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의 20만 6천배이며, 309×${10}^{13}$㎞의 길이다 파섹의 물리학적인 정의는 연주시차(年周視差)가 1″(초)가 되는 거리를 말한다 파섹이란 말의 어원은 시차(parallax)와 초(second)의 ... ...
- 눈사태 집중 해부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소자가 만들어진다(1) 지구상에서 두 극을 지나는 커다란 원 영국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원(경선)을 본초(本初)자오선이라 하고 이것을 0˚로 하여 동경 180˚, 서경 180˚로 나눈다 (2) 하늘을 큰 공으로 생각했을 때 이 천구(天球)상에서 천정(天頂)과 천저(天底)를 연결하는 커다란 원 즉 ...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화학로켓엔진으로는 5백초 이상을 내기 어렵다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적 업적은 천문학의 가장 중요한 보조과학인 수학과, 측량학의 도움으로 가능했다 천구의는 두개의 원륜을 서로 직각으로 고정한 것으로 그 하나는 자오선 평면상에 다른 하나는 하늘의 적도의 평면상에 놓여있다 자오선 고리 ...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소중한 통로가 된다.현산어보를 넘어서정약전은 생물 외에도 천문, 역사, 지리, 기상, 물리, 수학, 철학,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탁월한 지식과 식견을 가진 대학자였다. 실학의 집대성자로 불리는 정약용도 그에 대해 존경과 찬탄을 아끼지 않았고, 자신의 저술을 일일이 ... ...
- NASA '아기우주' 사진 공개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내지 않는 차가운 암흑물질이며, 나머지 73%는 불가사의한 암흑 에너지임이 드러났다. 한 천문학자가 말했듯이 우주에는 별이나 행성 같은 평범한 물질은 하찮은 불순물에 지나지 않는 셈이다.물론 암흑 에너지가 우세한 우주는 기구를 이용한 우주배경복사 관측이나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한 초신성 ... ...
-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과학동아 l2003년 03호
- beehive)이다. 천체망원경에 드러나는 성단의 모습이 마치 벌집 같기 때문이다.프랑스의 천문학자 찰스 메시에는 1769년 자신의 첫번째 메시에 목록 천체 45개를 완성하면서 고대부터 알려져 내려왔던 프레세페에 44번을 부여했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이 천체는 M44로 알려져 있다.오늘날의 연구에 따르면 ...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드레이크 방정식은 선택한 수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 ‘코스모스’에서 드레이크 방정식의 해를 계산했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1천억개의 별이 모여 있는 우리은하에 약 10개 정도가 문명세계를 만들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마차부자리에 위치한 M37은 이런 산개성단 중에서도 가장 화려한 축에 속한다.오늘날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M37은 2천여개의 별들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지구에서 떨어진 거리는 4천5백60광년이고, 나이는 대략 2백만년 가량으로 밝혀졌다.마차부자리의 세 별무리 중 으뜸M37을 만나려면 먼저 ...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두 경쟁자가 있었다. 1909년 미국의 천문학자 토마스 시가 제안했던 포획설과, 프랑스의 천문학자 에두아르 로슈가 신봉했던 동시 탄생설이다. 포획설은 거미줄에 파리가 잡히듯이 지구 주변에서 돌아다니던 작은 천체가 지구 중력에 잡혀 달이 됐다는 주장이고, 동시 탄생설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