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7배나 오래 살면서도 암에 걸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보통 쥐는 천적이 없는 사육환경에서 최대 90%가 암으로 죽는다. 사람도 사망원인의 23%가 암이다. 미국 로체스터대 생물학과 베라 고부노바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세포가 접촉에 민감해 주위에 세포가 가까이 있을 경우 세포분열을 멈추는 ...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발전소 위치도 처음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류발전을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 박 ...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과학동아 l2009년 11호
- 2일부터 1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 대전무역전시관, 엑스포 과학공원 일대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천문·우주과학 행사인 국제우주대회는 우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크게 높인 계기가 됐다. 학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열린 세미나, 회의와 함께 일반인들이 즐길 수 있는 풍성한 전시회와 이벤트가 ...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프로펠러가 있기 때문에 좌우로도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며 “최대 41명의 인원이 40일간 활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다음으로 온누리호의 심장인 지하 3층 기관실로 내려가 봤다. 조종실에서 기관실 내부로 들어가는 문 앞에 ‘헤드폰’이 걸려 있다. “안에는 소음이 ... ...
- 손안의 멀티미디어 도서관 아이리버 ‘스토리’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돋보인다. 페이지가 넘어갈 때만 전력을 소모하는 절전형 설계 덕분에 한 번 충전하면 최대 7000페이지까지 연속해서 읽을 수 있다.국내에서 전자책 콘텐츠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교보문고를 비롯해 청담어학원, 두산동아, 능률교육 등과 제휴를 맺어 다양한 전자책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이유는 하늘에 떠 있는 그 어떤 구름보다 높이 떠있기 때문이다. 무려 지상으로부터 최대 80km 고도에 떠 있는 구름이다. 이 정도면 얼마나 높은 걸까.과학자들은 하늘에 보이지 않는 층을 여러 개 냈다. 지상에서 우주 방향으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눈 것이다. 보통 구름은 지상에서 1 ... ...
- The Limits of Internet?과학동아 l2009년 11호
- 하락으로 생각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키피디아는 2007년 3월에 기고자 82만 명이라는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이 사이트에서 그처럼 많은 편집자가 활동하지 않았다. 카이 박사는 “2009년 중반에 이르러 우리는 이것이 실재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더 이상 위키피디아는 ...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기약분수: 분자와 분모의 공통인 약수가 1뿐인 분수를 말한다.약분: 분자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분수를 간단히 표현한 것이다.특별인터뷰 마술사 선생님 김택수재미있는 수학마술을 보여 주신 김택수 선생님! 어떤 계기로 마술에 빠져들게 됐는지 선생님에 대한 궁금증을 낱낱이 파헤쳐 ...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우리나라 최대 민속명절 중 하나가 추석입니다. 일반인에게 추석은 그저 즐거운 날일지 모르지만, 업체에게 추석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쁜 시기입니다. 물건을 팔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에 신제품 출시를 기획하는 등 판매전략 마련에 고심하기 때문입니다.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해 업체가 사용하는 ...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하나의 집에는 비둘기가 두 마리 이상 들어간다는 원리다. 당연해 보이는 원리가 수학계 최대의 난제를 푸는 데 쓰인다니 놀랍지 않은가?x와 y의 관계는? f(x)라는 함수 기호를 처음으로 쓴 사람은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함수는 보통 함수를 뜻하는 'function'의 앞글자인 f와 변수인 x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