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흐르면서 감자칩은 조금씩 발전했고, 1910년에는 처음으로 지금 먹는 감자칩과 비슷한 형태인 ‘봉지 감자칩’이 등장했다. 여러 가지 양념이 가미된 양념 감자칩은 195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등장했다. 그리고 대망의 2014년, ‘감자칩은 짜다’는 고정관념을 날려버리고 벌꿀로 양념한 감자칩이 ...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얇은 종이를 여러 겹 쌓아 올려 입체 모형을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죠. 3차원으로 형태가 일그러진 얼굴 기형의 경우, 평면보다는 3D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는 게 훨씬 더 정확합니다. 이때 실제 환자의 뼈처럼 모델의 표면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나타내는 게 중요합니다.그 다음 단계는 진단과 수술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용해 단단한 삼엽충을 잡아먹고 살았던 거지요. 아노말로카리스의 턱은 뼈가 없는 형태로, 오늘날 곤충의 턱과 닮았답니다.최초로 턱뼈를 가졌던 판피어단단한 턱뼈가 있다면 더욱 강한 힘으로 물 수 있겠죠? 약 3억 5000만 년 전에 살았던 ‘판피어’는 최초로 턱뼈를 갖고 있었어요. 몸길이가 약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검사했다. 무려 50일에 걸친 계산 끝에, 정확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렇게 구한 1936개의 형태에 하나하나 색을 칠해서, ‘4색 문제’를 증명할 수 있었다. 사람이라면 엄두를 못낼 계산이었다. 400년 묵은 수학 미스터리 컴퓨터가 해결하다!Q2의 답은 이미 17세기에 나왔다. 케플러는 하나의 공을 12개의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석기로 진화했 다. 아슐리안 석기는 큼직한 돌의 전면을 계획적으로 다듬어서 만든, 도끼형태의 다목적 석기다. 이 석기가 제작된 시기는 호모 에렉투스의 출현시기와 엇비슷하 다. 즉 이 석기의 발명자는 호모 에렉투 스일 가능성이 높다.과거에는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오직 서양에만 있는 것으로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게 목표”라고 말했다.원자력연구원에서는 욕실에서 쓰는 곰팡이제거제처럼 거품 형태로 제염액을 만드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표면적을 수십 배 넓힐 수 있고 벽면에 붙일 수도 있는 거품은 사용후핵연료 저장조를 제염할 때도 요긴하다. 저장조는 원전에서 1차 계통 다음으로 방사능 오염이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가기 시작했다. 유럽과는 철저하게 차단된 상태에서 일본 지식인들은 독자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기하 문제를 만들고, 이 문제를 풀면서 지적인 만족감과 논리적 사고력의 한계를 시험했다.지식인의 이 오락은 곧 바로 일반 대중 사이로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이를 나무 액자에 새겨 종교적인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고립됐다는 뜻이다. 해류는 남극대륙의 열을 저위도로 퍼날랐다. 대신 난류가 심층수의 형태로 다가와 수분을 공급하자 대륙에 눈이 쌓이기 시작했다. 마침 파나마 지역이 융기하며 아메리카 대륙은 남북을 잇는 거대한 띠 모양이 됐다. 태평양과 대서양은 이제 완전히 분리됐고, 해류의 움직임은 또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출전을 준비하고 있다. 휴보 아버지인 오준호 KAIST 교수는 “지난해는 컨소시엄 형태로 두 팀을 구성하고 나란히 참가를 준비하다 보니 팀원간 손발이 맞지 않았고. 핵심 역량이 분산되는 결과만 낳았다”며 “이번엔 모든 역량을 모아 충실히 준비하고 있어 우승까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소프트로봇’이어서다. 베이맥스는 중앙처리장치를 제외하곤 공기로 꽉 들어찬 풍선 형태의 말랑말랑한 로봇이다. 그런데 최근 로봇이 베이맥스처럼 딱딱한 외투 대신 부드러운 몸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런 소프트로봇이 주목받는 이유가 뭘까. 첫째, 소프트로봇은 안전하다. 로봇 기술은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