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연변이만 골라 '싹둑' RNA유전자가위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11.20
- 구아닌을 RNA 유전자가위에 붙여 기존 RNA 유전자가위의 한계를 극복했다. 잘라야 하는 DNA 상의 염기서열 위치를 수백 배 이상 정밀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RNA 유전자가위는 유전학 연구는 물론 유전자·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유전자 교정으로 만드는 고부가가치 가축 생산 등에 쓰일 ... ...
- 첼랴빈스크 유성 폭발 비밀 알고보니...동아사이언스 l2013.11.17
- 러시아 등 유럽 전역에서 발견된 고대 늑대 화석 10종과 개 화석 8종에서 미토콘드리아DNA를 채취해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이를 현대의 개 77종, 늑대 49종, 코요테 4종 염기서열과 비교했다. 그 결과, 길들여진 현대의 개 유전자가 고대와 현대의 유럽 늑대 유전자와 가장 가깝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 이상형도 아닌데 왜 그 사람에게 끌리지?동아사이언스 l2013.11.17
- 특히 생명현상에 대한 그의 뛰어난 통찰은 생물학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평가를 받는 DNA의 발견에도 큰 영향을 줬을 정도다. ‘물리학자의 철학적 세계관’은 이번에 처음 번역된 책으로 슈뢰딩거의 마지막 저서이자 그의 형이상학적 세계관이 응축된 역작으로 꼽힌다. 저자는 놀랍게도 이 책 ... ...
- ‘제2의 지구’ 품은 별, 맨눈에도 보인다?!동아사이언스 l2013.11.08
- ‘행성 사냥꾼’ 제프리 마시 UC 버클리 교수는 “어떤 행성은 두꺼운 대기를 가져 DNA 같은 분자가 살아남기에 그 표면이 너무 뜨거울 수 있고, 다른 행성은 암석 표면을 가져 생명체에 적합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행히도 지난주에는 마시 교수팀이 지구 크기의 ... ...
- "감자칩 모양을 설계할 때도 사용… 중소기업 R&D에 필수인 슈퍼컴퓨터"동아사이언스 l2013.11.08
- 비용도 대폭 절감해 준다. 바이오기업 ‘진인’은 세균의 감염 진행 정도를 판별하는 DNA칩을 개발했는데,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덕분에 R&D 기간이 예상했던 21개월에서 2개월로 줄었다. 또 공기순환장비 업체 ‘가교테크’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평균 12억 원 수준이던 신제품 개발비를 1억2000만 ...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동아사이언스 l2013.11.04
- 행동유전학자 로버트 플로민 교수와 연이 닿았고 마침내 수학영재들의 DNA를 확보하게 된 것. 플린 교수는 지난 2010년 일반 어린이 7900명의 게놈을 분석했지만 지능유전자를 찾는데는 실패한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영재들 2000여명의 게놈을 분석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 물론 이런 ... ...
- 누굴 닮아서 공부 못하냐구요? 곧 알려드립니다!동아사이언스 l2013.11.03
- 방법으로 이 문제를 개선했다. 암이 발생하는 까닭은 모계와 부계로부터 받은 DNA 중 어느 한쪽에 생긴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이렇게 돌연변이가 생긴 염기서열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이번 기술은 유전자 형태에 따라 부작용의 ... ...
- “희귀종 유전자 분석은 노화 연구의 지름길”동아사이언스 l2013.11.01
- 그의 최종 목표인 인간의 암과 노화를 정복하기 위해서다. 박 소장은 첨단 차세대 DNA 해독기와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을 활용한 10개월간의 분석 작업 끝에 완성한 호랑이 게놈 지도를 통해 고양잇과 동물이 대표적인 육식동물이라는 점을 유전적으로 밝혀냈다. 그의 다음 목표는 고래. 박 ... ...
- [新 여성시대]2부 전문직여성 과학자동아사이언스 l2013.10.29
- 회절 사진을 제공했으면서도 노벨상에서 제외된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경우도 비슷하다. DNA 구조가 이중나선으로 발견되는 과정을 숨김없이 드러낸 제임스 왓슨의 책 ‘이중나선’에는 프랭클린이 머리가 비상하고 결정학자로서 전문가임을 인정하면서도 ‘여성스러움과 거리가 먼 여자’라거나 ... ...
- [채널A] 과학으로 하나 된 ‘미래과학콘서트’ 현장채널A l2013.10.29
-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리처드 로버츠 교수가 첫 연사로 나서 DNA를 이용한 생물정보학의 미래를 이야기하자 200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미국의 앤드루 파이어 교수가 바통을 이어 받습니다. 청중석에선 이들을 향한 질문이 쏟아지고, 정성어린 답변이 이어집니다. 이틀 동안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