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03
드레이크 방정식은 선택한 수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유명
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 ‘코스모스’에서 드레이크 방정식의 해를 계산했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1천억개의 별이 모여 있는 우리은하에 약 10개 정도가 문명세계를 만들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3
저자는 또 어떤 사람일까.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우리나라 최고(崔古)의 해양생물학서로
유명
한‘현산어보’에서 발췌한 것이다.‘ 현산어보’는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지은 책이다. 정약전은 천주교에 관련됐다는 죄목으로 전남 신지도와 우이도를 거쳐 흑산도에서 오랫동안 귀양살이를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02
죽음의 강으로 알려져 있다. 에리다누스는 아폴론의 아들 파에톤이 빠져죽은 강으로도
유명
하다.파에톤은 친구들에게 자신이 태양신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증명해 보이려고 아폴론을 찾아갔다. 그리고는 아폴론에게 태양을 싣고 다니는 마차를 몰게 해달라고 졸랐다. 태양 마차를 몰고 친구들 앞에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02
극한 환경에서 인간이 어떤 상황에 처하는지 분석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가장
유명
한 것이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는 더미다. 이 더미는 프레드라는 이름까지 갖고 있는데, 우주에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프레드는 팔다리가 없는 토르소 조각 형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인공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02
서로 역행중이다(보통 때 서에서 동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순행이라 불린다). 4월 초에는
유명
한 프레세페 성단(M44)에 접근한다.목성은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이므로 소형 천체망원경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목성 표면에 있는 줄무늬와 거대한 대적반, 그리고 목성 주변을 돌고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2
그 밑에 있는 종이에도 자국이 생길 수 있다. TV 드라마 ‘형사 콜롬보’에 등장하는
유명
한 장면 중 하나가 콜롬보가 흰 종이 위에 눌린 글씨를 알아보기 위해 연필로 가볍게 칠하면 그곳에 있던 자국이 드러나는 장면이다. 그러나 제대로 교육받은 형사라면 이렇게 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눌린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02
특히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을 지키기 위해 외국기업의 인수제의를 거절한 일은 업계에
유명
한 일화로 남아있다.안철수연구소가 출범한지 3년째 되던 1997년 세계적인 보안업체인 맥아피가 안철수연구소를 무려 1천만달러에 사겠다고 제의했다. 일말의 갈등도 없이 그 제의를 거절한 안 사장은 “그때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01
수 있다.크기 : 110×75×15mm 무게 : 1백8g가격 : 99달러(12만원대)■NHJ LIMITED Snap토이카메라로
유명
한 NHJ Limited에서 출시한 제품. 배터리 수명은 연속촬영시 약 70분이다. 함께 들어있는 별도의 스탠드를 카메라에 장착하고 USB케이블을 연결하면 PC카메라로도 활용할수 있다. 자신이 찍은 사진을 그 자리에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01
유성우가 속한다. 이 중 가장
유명
한 것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다. 하지만 이 유성우의
유명
세는 단지 별을 보기 용이한 한여름에 펼쳐진다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유성우는 바로 용자리 유성우다.용자리 유성우는 과거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불렸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01
그 이름을 알 정도로
유명
한 블랙홀. 외부물질과 빛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먹어치우는 이상한 천체다. 블랙홀은 178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존 미첼이 빛조차 탈출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중력장을 가진 별을 상상하면서 탄생했다. 하지만 1915년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이 나와서야 이론적인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