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밑변은 잘라낸다2. 새로 만들어진 네 개의 선분에 대해서 각각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위의 규칙을 정삼각형의 각변에 무한번 적용해 얻어지는 코흐곡선의 프랙탈 차원을 구하면 r=3, N=4 이므로 D=$\frac{{log}^{4}}{{log}^{3}}$=1.2618 차원이 된다. 선도 아니고 평면의 차원도 아닌 이들의 중간 차원이다. 우리의 ... ...
- 잘 보는 것은 뇌 때문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규칙이 없이 원추세포들이 배열되는 사실은 예상 밖이었다. 디지털 카메라를 이렇게 규칙 없이 고안한다면 상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을 것이다. 이점이 인간의 눈이 세상에서 가장 견고한 영상 장치임을 말해주는 것이다”라고 연구팀장인 윌리엄은 말했다.연구팀은 이러한 일이 가능한 이유를 ... ...
- 열역학의 세계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주위에 있는 모든 분자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든 것은 ‘일’이고, 불규칙적으로 움직이게 만들면 ‘열’이다. 즉 같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더라도 추를 들어올리면 일이 되고, 물을 열심히 저어서 물분자들이 아무렇게나 움직이게 만들면 열을 가해준 것으로 본다(그림3).열역학에서는 ... ...
-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과학동아 l1999년 02호
- 형법은 진통설을 채택하고 있다. 출산에 임박하면 산모의 자궁경부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규칙적인 진통이 시작된다. 약 6-12시간 동안 지속되며, 자궁경부는 최대 10cm까지 열린다.이때부터 신생아가 나오기까지 2-3분 간격으로 1분 정도 지속되는 강력한 자궁수축이 시작된다. 이때 산모는 태아를 ...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과학동아 l1999년 02호
- 태어나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성단을 이룬다.성단들 중 특별한 모양 없이 불규칙하고 성글게 모여있는 것을 산개성단이라 한다. 산개성단에 포함된 별들은 제2세대 별들이다. 이들은 은하계가 형성된 초기에 만들어진 제1세대 별들이 죽어가면서 자신의 잔해를 뿌려놓은 뒤, 이 잔해 물질들이 ... ...
- 2. 사주와 주역과학동아 l1999년 02호
- 행한다. 50개의 산가지가 들어있는 산통을 흔들어 섞은 다음 이들을 빼서 양손에 쥐고 규칙에 따라 덜어내고 더하기를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의뢰자의 상황과 앞으로의 행동방향을 제시해주는 한효를 얻는다. 주역이라는 책은 바로 이 효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해 놓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과학동아 l1999년 02호
- 굵기가 다른 흰 선과 검은 선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다. 그러나 바코드만큼 많은 규칙이 지배하고 있는 것도 없다. 어떻게 흰바와 검은 바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일까(그림3) ... ...
- 날씨 예측보다 어려운 유성우 예측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있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먼저 주변행성들의 섭동 때문에 처음 있던 자리에서 불규칙하게 이동하고 전체적인 분포가 달라져버린다. 여기에 더해 태양에서 불어오는 강한 태양풍의 영향으로 입자들이 원래의 혜성궤도 주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예측이 더 어렵다.또한 영화 '딥 임팩트'에서 ...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과학동아 l1998년 12호
- 함께 혈압이 깨어있을 때와 거의 비슷한 상태로 변한다. 또 심장의 박동과 호흡은 불규칙해진다.흥미로운 점은 몸의 여러 기능이 깨어있는 것처럼 변화하는데 비해 정작 근육은 비렘수면에 비해 더욱 이완된다는 점이다. 몸은 숨을 쉬거나 심장을 뛰게 하는 근육을 제외하고 거의 '마비' 상태에 ...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이러한 정규육화형 외에도 바늘모양, 기둥모양, 장구 모양, 콩알 같이 둥근 모양, 불규칙한 입체모양, 꽃잎이 열둘인 십이화형 등 수십가지의 다른 결정이 있고, 좀더 세밀하게 분류하면 3천종이 넘는 다양한 모양이 있다.이들은 눈이 형성되는 대기층의 온도와 기압, 수증기량에 따라 각기 다른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