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과학동아 l2000년 12호
- 피로테오믹스 분야도 결국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기초연구가 튼튼하지 못하면 특히 게놈연구는 불가능하다.그러나 이러한 게놈연구는 당장 산업적 결과나 경제적 효과는 없는 반면,엄청난 연구비와 인력의 지원이 요구되는 분야다.정부나 산업계에서 각별한 ...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의미를 지닌다. 규모 면에서 사장교, FCM교, PSM교 모두 국내 최대일 뿐만 아니라 사장교 기초를 만드는데 사용된 물막이공법과 주탑보(cross beam)를 인양한 헤비리프팅공법, 그리고 FCM교에 사용된 큰 규모의 콘크리트 말뚝 등은 모두 최초로 적용됐다. 또한 설계나 해석과정이 복잡하고 시공단계마다 ... ...
- 1. 공중에 솟은 정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물레방아를 각 층마다 설치했다고 함)을 갖고 있다. 두번째 방식은 디디오르가 지붕에서 기초까지 내려져 있는 기둥으로 물이 올라갔다는 설명에 부합된다. 하지만 이 경우 각층에 수많은 아르키메데스의 나사, 즉 기둥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설명이 보이지 않는다. 결국 상층부까지 물을 길어 ...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주관, 내적인 것-외적인 것, 발생하다-발생하지 않다 등과 같은 언어의 양극성 구조에 기초해 적절히 유지되고 있다는 쿤의 연구결과는 존 맥에게 많은 도움이 됐다고 한다. 존 맥은 UFO 현상을 연구하는 동안 이런 이분화된 언어 구조의 어느쪽에도 치우치지 말고, 항상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은 ...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셈이다.때로는 업적이 시대를 너무 앞서가 수상이 늦어진 경우도 있다. 1926년 양자역학의 기초가 되는 파동함수의 통계적 해석을 창안한 유태계 독일인 물리학자 막스 보른이 대표적인 경우. 당시에는 아인슈타인 등 학계 거물들이 그의 해석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28년이 지난 1954년에야 보른은 ...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이런 체제가 마련돼 있지 않아서 타학부 전공자가 생명과학 대학원에 진학한 후 기초생물학을 혼자 공부해서 생명과학 학부졸업생을 좇아가거나,학부때 미리 몇과목을 수강해둘 필요가 있다.포항공대에서는 최근 물리학 교수 채용에서 이변이 일어나는 일도 있었다.생물리학 전공자인 ...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과학동아 l2000년 11호
- 나오는 것을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는 은하는 ... ...
- 쌍방향 장난감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를 결정할 감각기반 제어 기술도 필수적이다. 즉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사람에게 호소력 있게 표현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어떻게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을지가 바로 감각기반 제어 기술에 의해 결정된다.필자의 연구실에서도 감각기반 제어에 관한 ...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과학동아 l2000년 11호
- 수많은 별들로 이뤄진 은하라고 확인된 때가 20세기 초라는 점을 감안하면 18세기초 허셜의 이런 가설은 놀랍다.오르간 연주하며 망원경 제작독일 북부에 있는 하노버의 군악대 오보에 연주자인 아이작 허셜에게는 10명의 자녀가 있었다. 그 가운데 여섯째인 윌리엄 허셜은 오보에와 바이올린의 연주 ...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과학동아 l2000년 11호
- 다양한 접목을 시도하는 것은 의미 있고 필요불가결한 일이다.인간 본연의 호기심에 기초한 순수물리와 현실을 직시한 응용물리가 조화롭게 겹쳐질 때에 비로소 21세기에도 건강함과 다양성을 겸비한 물리학을 지켜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 올 노벨물리학상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새겨본다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