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이 끈을 원통형 다발로 만들어 그 안에 수소를 채운 다. 이렇게 만든 7000개의 다발을
높이
1.5m의 원통에 채우면 1분에 4~8L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로켓 연료와 불꽃놀이에 쓰이는 과염소산은 먹는 물에 많이 들어 있으며, 갑상선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태아 발달에 해롭다. 과염소산 제거 과정은 매우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사람과 침팬지 어느 한쪽에서 사라졌거나 기능이 없어진 유전자들을 밝혀낸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한 일”이라고 밝혔다.침팬지가 진화과정에서 사람과 다른 유전자를 갖게 된 경우도 새롭게 알려졌다. ‘레트로바이러스성 요소’(retroviral elements)는 진화 과정에서 숙주 유전자의 일부분으로 결합돼 ... ...
부처님을 지키는 낙가산 눈썹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옆으로 난 419개의 계단을 따라 10분 남짓 올라가면 깎아지른 듯한 바위 절벽에 10m
높이
로 새겨진 마애석불좌상을 만나게 된다. 암벽에 정교하게 조각된 불상의 모습에도 감탄이 나오지만 불상을 보호하듯 지붕처럼 위를 덮고 있는 기이한 모양의 암석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더욱 신기하고 궁금하다.이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준다. 서울시측은 이들 가로수가 시야에서 나무나 풀이 보이는 ‘녹시율’(綠視率)을
높이
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청계천변에 가로수가 있으면 녹시율이 28%까지 올라간다고 밝히고 있다. 녹시율이 30%를 넘으면 사람들은 쾌적감을 느낀다. 청계천은 ‘風’ 맞았다최근 청계천을 걸어본 사람들은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생긴 함몰지형으로, 대체로 둥근 가장자리 부분은 외부표면보다 더
높이
솟아올라 있고 중앙에는 뾰족하게 솟아오른 작은 봉우리가 있다 크레이터의 크기는 충돌하는 운석의 질량과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작은 운석의 수가 압도적이므로 작은 크레이터가 많다CAD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신호를 보내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
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이용해 항해한다 그리고 수면 가까이에 부상하면 ... ...
"무사하라~, 알들이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같은 것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세 번째 방법은 미끄럼틀의 원리입니다. 같은
높이
에서 떨어지더라도 미끄럼틀처럼 비스듬히 떨어지면 그 충격이 줄어듭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글라이더 모양의 구조물을 만들어야 합니다. 더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보다 두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따라 주파수로 구분이 가능하다. 여러 높낮이의 주파수가 섞여 있더라도 원하는
높이
만 골라내 들으면 도청이 가능하다. 그런데 고주파와 저주파가 잔뜩 섞여 띠 모양을 띤 음파 덩어리라면 어떨까.배 교수는 “소리를 원천적으로 봉쇄해 엿들을 수 없게 만들 수도 있지만 소리에 잡음을 섞어 아예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다. 예를 들어 몸집이 큰 미국 모하비 인디언 여인은 동부 아프리카 마사이족처럼
높이
뛰어오르는 동작을 할 수 없고, 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현대문명과 동떨어진 삶을 사는 부족의 춤일지라도 그건 그들만의 문화일 뿐이다. 춤과 사회는 뗄 수 없는 관계원시시대의 부족사회에서 왕권사회로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름 붙은 이곳은 나비들만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작은 생태계다. 지름 20m,
높이
7.8m의 돔에 나비의 먹이식물을 심고 기생벌 같은 침입자를 막아 나비가 번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다.문을 열고 들어가니 머리 위로 갖가지 나비들이 햇빛 속을 날아다니고 있었다. “무심코 발밑의 애벌레를 밟을 수도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