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한여름
밤
의 무더위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공포영화나 무서운 얘기를 접하는 것이다. 온몸에 소름이 돋을 만한 내용이라면 더욱 안성맞춤이다. 우주공간에도 속살까지 시원하게 해줄 끔찍한 형상을 한 천체가 있을까.지난해 4월 허블우주망원경에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올여름 야외로 캠핑을 나가면 남쪽하늘 은하수에 묻혀있는 이 보석을 찾아보자.이달의
밤
하늘에 어떤 일이? 7월 새벽녘 가장 밝아지는 ‘이상한 별’7월 새벽녘 고래자리가 떠오르면 옛날사람들이 이상한 별로 간주했던 미라를 볼 수 있다. 미라는 밝기가 변하는 별이다. 옛날사람들은 보였다가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하던 제자가 일반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그와 함께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밤
중에 갑자기 전에 안보이던 영감이 떠오르는 것이 많아요. 그래서 집사람이 또 아플까 봐 걱정을 합니다.”박 교수는 연구에 대한 열정이 아직도 남다르다. 그에게는 아직도 수학의 봇물이 터지고 있는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기압과 바람 이외에는 어느 것이나 일변화 및 연변화의 양이 크다특히 기온은 낮과
밤
및 여름과 겨울의 한난(寒暖) 차가 매우 크다 대륙지역(대륙지각)의 면적이 지질시대를 통해 증대되었다는 학설 즉, 대륙은 선캄브리아대에 성립된 대륙핵(大陸核)이라는 가장 오래된 중심부 주위에 변동이 있을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토하게 하며, 해독제 등을 사용하지만, 무엇보다도 빨리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여름
밤
남쪽하늘 은하수 가운데에 있는 별자리 날개를 활짝 펴 나는 새, 또는 독수리 모양이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자리의 직녀성은「떨어지는 독수리」로서 부근의 별과 연결되어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름이 4~5cm의 두상화(頭狀花)로 피며 꽃대 끝에 1개씩 달린다꽃색은 등홍색(橙紅色)이며
밤
에는 오그라든다보통 가을에 씨를 부려 온실에서 월동한 후, 이른 봄에 화단에 옮겨 심는다P 디바이가 제창한 고체의 격자진동에 대한 모형 고체의 격자 비열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비열식은 저온에서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4년 대접근 때보다 근소하나마 더 크게 보인다.보기 드문 대접근 현상의 주인공 화성이 한
밤
중이면 이제 서서히 동쪽하늘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화성은 현재 염소자리와 물병자리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점차 동쪽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지난 5월 14일 화성은 해왕성에서 불과 2° 가량(1°는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빛을 보지는 못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지상에서는 하루 24시간 가운데 약 절반이
밤
이라 발전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 구름이 끼거나 비가 내리는 날도 충분한 발전을 할 수 없다.반면 정지궤도 상에 설치되는 우주태양광발전소는 1년에 두번 지구의 그늘에 가려져 발전할 수 없는 ‘식’을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밤
하늘을 여기저기 누비며 탐사할 수 있고, 스스로 날씨를 판단한 후 날씨가 좋으면
밤
하늘에서 목표 대상을 찾아가 알아서 추적·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하다. 또 망원경은 원격 조종이 가능하며 관측된 방대한 자료도 고속 전산처리기술로 자동 처리된다.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준다고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착각하는 것이다.밝기나 빛깔의 대비에 의한 착시현상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밤
에 자동차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릴 때 운전자는 중앙선에 서있는 사람이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칠판의 글씨가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빛에 반사돼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일종의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