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황"(으)로 총 6,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려고 블록을 쌓다 보면 멀리 떨어진 두 블록을 무조건 연결해야만 하는 불가능한 상황이 나타나요. 독일 뮌헨에 있는 국립독일박물관의 펜로즈 삼각형 구조물도 특정한 각도에서 봐야만 삼각형으로 보여요. 즉, 불가능한 도형은 사실 모든 부분이 연결된 것처럼 보이게 그린 것일 뿐이지요.2014년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등 알아야 할 수학 분야가 많다. 사실 앞으로 어떤 분야와 더 관련이 생길지 모르는 상황이다. 양파껍질처럼 까도 까도 새로운 연구 분야가 나오고 있는 것이 리만 가설이다.리만 가설 풀리면 암호체계 무너지나?흔히 리만 가설이 풀리면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인터넷 암호체계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힉스 입자의 흔적을 발견했고, 지금은 힉스 입자의 자세한 성질을 알아가고 있는 상황이다.한편, 전자와 비슷하지만 훨씬 무거운 입자들도 발견됐다. 소위 뮤입자(뮤온)와 타우입자(타우온)로 불리는 입자들이다. 이들은 약력을 통해 중성미자라는 매우 가벼운 입자와 상호작용 한다는 것이 ...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당하는 힘을 받고 있는 셈이지요. 까딱 잘못하면 뒤로 날아갈 수도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입니다.이 위험을 무릅쓰고 무게를 버텼다고 해도 자신보다 두 칸이나 뒤에 앉은 피해자의 목에 정확히 줄을 걸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롤러코스터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가 70cm 이상입니다. 이 길이가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영상의 게임도 쉽게 다운받고 즐길 수 있게 됐지요.또 다른 변화는 게임을 마치 실제 상황처럼 즐길 수 있게 되었다는 거예요. 그 주인공은 ‘오큘러스 리프트’! 오큘러스리프트는 고글처럼 생긴 일종의 가상현실 장치예요. 이 장치는 게임기에 연결돼 있어 안경을 쓰듯 눈에 착용하면 가상의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나였네. 게임이론을 공부하던 나는 다른 생각이 들었지.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여러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면 사람들은 자신에게만 이익이 되는 최선의 선택을 하지 않아.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전략을 예상해 그에 대응하는 ‘차선책’을 선택하지. 그 선택을 내시균형이라 이름 붙였는데, 내가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프린터의 유해한 면을 전혀 모른 채로 아무런 규제 없이 사용하고 있다는 건 우려할 만한 상황이죠.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알 권리가 전혀 충족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제조 업체에서는 옥수수를 원료로 한 PLA(PolyLactic Acid, 폴리젖산) 수지를 사용해 인체에 무해하다고 광고한다. 실제로 앞에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로운 입자들이 있지는 않을까. 이에 대해 물리학자들은 아직 명확하게 답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힉스입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는 세기도 아직 잘 모르기 때문에 측정해 봐야 한다.표준모형이 말해주지 않는 것들1.현실과 표준모형의 예측값이 다르다?표준모형에서 예측한 현상은 거의 대부분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균이 침입해온다면 어떨까요. 마치 이 상황은 먹을 게 잔뜩 있는 뷔페에 나 혼자 있는 상황과 비슷합니다. 반면 상재균이 있다면 제 아무리 세균이라고 하더라도 먹이를 독점하기 쉽지 않겠지요. 상재균은 병원체와 경쟁해 우리 몸을 지켜주는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상재균은 우리 몸이 외부 ... ...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읽다 보면 “과학을 향한 만화가의 연애편지”라는 작가의 말이 실감난다.특히 장식이나 상황 묘사에 머물렀던 삽화의 역할을, 독자가 과학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역할로 확장했다는 게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사진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핵심을, 간결한 그림으로 풀어냈다. 게다가 내용은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