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런데 여기서도 최근 북한의 어려운 상황을 볼 수 있다. 활자나 구성, 삽화가 거칠고,
종이
가 부서질 정도로 질이 나쁘다. 또한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가 교과서 맨 첫머리를 장식하는 것도 여느 교과서와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제1고등중학교 화학4에는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대원수님께서는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불편해야 한다패스트푸드 매장은 손님 회전이 빨라야 한다. 고기와 빵을 미리 구워
종이
로 싸놓고 카운터에서 주문을 받는 대로 손님들에게 잽싸게 건네준다. 손님은 그걸 들고 매장 내의 의자로 가서 엉덩이만 걸치고 앉아 빨리 먹어치운 후 가게를 나선다. 그러면 다음 손님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한장에 지름 10cm 정도의 원을 그리고 흑점을 스케치한 후 그 다음 날의 관찰에도 같은
종이
를 쓰는 방법이 좋다. 흑점에 따라 서서히 커지면서 발달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며칠 사이에 갑자기 작아지면서 없어지는 것도 있다. 태양의 자전주기를 알아보려고 한다면 처음 크기는 작아도 서서히 ... ...
3. 왜 포스트PC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메일과 데이터를 가까운 프린터로 출력시키는 휴대폰, 디지털카메라가 내장돼 사용자가
종이
에서 PC나 팩스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펜, 사진을 찍으면 사진이 인터넷으로 바로 전송되는 카메라 등이 지난 컴덱스에 전시됐다. 벤츠는 차 안에서 언제든지 영화를 보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판독하는 방법으로 탁본이 쓰인다. 판화처럼 바위에 먹물을 먹여
종이
를 덮은 후 그
종이
를 떼어 내 암각화에 그려진 내용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탁본은 바위를 손상시키는 것은 물론 자연 현상에 의한 바위틈과 인공적으로 새긴 자리의 구분이 어렵고, 여러 장의 탁본 후 이를 연결하는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얘기를 미국에 유학중인 친구에게 했다가 비법 하나를 소개받았다. 그 덕분에 지금은
종이
와 펜으로 메모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떠오른 생각을 놓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전보다 더 효율적으로 메모내용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화학전공으로 미국에서 현재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그 친구도 유학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플라스틱도 전기 통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는다. 머지않아
종이
처럼 돌돌 말아서 지니고 다니는 TV를 보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또한 전도성 고분자는 다른 고분자들과 잘 섞이기 때문에 기존의 고분자들로 만들어진 자동차 타이어나 합성섬유 옷 등이 갖는 정전기의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만든 나무다리는 트럭이 지나가다가 부서졌지만 벌집구조로 만든
종이
다리는 트럭이 지나간 뒤에도 끄떡없었다. 벌집구조는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육각형이 나뭇가지 여러개를 묶어놓은 경우처럼 외부 힘을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며, 빈 공간을 활용하는 탄력성으로 외부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느낄 수 없을 만큼 작은 크기로 말려 있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얇은 비닐
종이
를 동그랗게 말면 원통 모양이 생기고 이것을 더 얇게 말면 1차원 선이 된다. 이 선의 양끝을 붙여서 고리를 만들고 이 고리의 크기를 역시 아주 작게 하면 0차원의 점이 된다.그런데 문제는 끈의 모양이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위험성이 커지는 것도 마찬가지 현상이다.이 실험은
종이
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이
컵을 사용할 경우, 아래 테두리 부분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실험하려면 이 부분을 잘라내야 한다. 페트병은 아래 부분이 울퉁불퉁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이 실험에 적합하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