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큰"(으)로 총 6,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사성어, 너도 알 수 있어!기사 l20220213
- 네 번째는 ‘무용지용’으로 쓸모없는 듯 쓸모 있다라는 뜻이죠. 장혁이라는 목수가 아주 큰 나무를 보고 (높이는 산 정도인) 쓸모없는 나무라고 말했습니다. 남백자기라는 사람은 이 나무를 보고 너무 좋다 말했죠, 하지만 캐고 보니 관으로도못 쓰고하는 무용지물(쓸모 없다.)이었어요. 그 나무는 쓰임새가 있어 스스로 해를 당했기에 그랬어요. . ...
- 도롱뇽 vs. 도마뱀기사 l20220212
- 벽과 천장을 걸어다닐 수 있습니다. 발에 난 특별한 털 덕분이라는 데요, 스파이더맨과 비슷하죠? 3. 가장 크고 작은 도마뱀 가장큰 도마뱀은 코모도왕도마뱀 이랍니다. 이 도마뱀의 몸길이는 3미터까지 자란데요!! 가장작은 도마뱀은 난쟁이도마뱀붙이 입니다. 몸전체길이가 1.3cm도 안 된다고 합니다!! 굉장하지요. 어른 손톱 크기 정도 된답니다. ...
- 우리은하는 무엇일까?기사 l20220212
- 일단 태양계가있다. 1au 는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다 해왕성 20au 우루트구름은 100au도 넘는다. au보다 더 큰 단위는 광년이다. 우리은하 자체의 면적은 10만 광년이다. 우리은하 가운데에는 궁수자리a 라는 블랙홀이 있다. 태양계는 그 블랙홀에서 3만 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은하는 약 137억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온자리도 우리 ...
- 기축옥사란?기사 l20220212
- 1589년 기축옥사(선조 22년) 기축옥사는 임진왜란 전에 일어난 가장 큰 사건이라 보는데, 이를 '정여립의 난' 또는 '기축사화' 라고도 부른고 하죠 기축옥사의 주인공 정여립(鄭汝立)은 원래 서인이었으나 동인으로 바꿨습니다 그 이유는 그 ...
- 태양, 대체 무엇일까?기사 l20220212
- 약 700,000 km 니 지름이 약 1,400,000km겠죠! 이 크기가 실감이 나지 않는다구요?지구의 지름은 약 12,000km니, 태양이 지구보다 훨~씬 큰 것을 알수 있습니다! 태양에 있는 것들을 알아보자면, 우선 "코로나"입니다! 바이러스완 다르지요! 뭔지 모르겠다고요? 우린 보통 태양을 어떻게 그리죠? 주황빛이 도는 동그라 ...
- (쿠리런X뜰팁) 휴먼쿠키 14화: 납치포스팅 l20220212
- 집중해서 보았다. 그러자, 불꽃은 보이지 않았지만 나뭇가지가 천천히, 아니 꽤 빠른 속도로 재가 되었다. 마법사맛 쿠키는 별 큰 일이 없이 잘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의 손에서 불꽃이 피지는 않았지만, 라더 본인은 못 느꼈겠지만 옆에 있던 마법사맛 쿠키는 확실하게 느꼈다. 라더의 손에서 따스한 온기가 피어올랐다. "오! 그래도 처음 ...
- Pronoun포스팅 l20220212
- 아니 어제 학원 썰인데요 쌤이 칠판에 _ _ _noun이라고 쓰셨어요 저랑 저희반이 한국어 뜻은 알아냈는데 영어를 까묵은 거예요 대명사인데(pronoun) 대가 큰 대(大) 있잖아요? 그래서 제가 당당하게 외쳤습니다 "아! Bignoun!(?)" 쌤이 막 웃더니 답을 알려줬어요 애들끼리 빅나운 하면서 낄낄거렸읍니다 ...
- 깨알 홍보포스팅 l20220212
- 큰거 예고 :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수학동아 (dongascience.com) 예고 - 11월 5일 [합작 만화] 死愛花_프롤로그(+보너스) :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수학동아 (dongascience.com) 갓홍시자까밈의 프롤 - 1월 31일 1화 - 업로드 예정 업로드 주기는 월요일, 화요일이 될 것 같습니당 ...
- 쥬라기월드 도미니언 1차 예고편 분석!! #1기사 l20220211
- 박사도 티라노를 무려 4번이나 보았죠.앨리 새틀러박사는..... 랩터랑 티라노만 보았죠. 근데 이제 이 영화에는 4배나 더 쎄고, 더 큰 육식공룡인 기가노토사우루스를 봅니다.... 박사들이 쥬공 때 악몽이 떠올리겠네요. 실제 예고편에서도 3박사들이 기가노토사우루스를 볼 때 진짜 겁먹은 표정이였죠. 과연.... 그들에 운명이 궁금합니다. 마지막은 ...
- 태평양 쓰레기 청소하는 비영리단체, 오션클린업!기사 l20220210
- 됩니다. 그 후로 슬랫은 깨끗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그물로 쓰레기를 건져 올리는 방식 등 여러 방법을 써보았지만, 이 방법은 별로 큰 효과도 없고, 힘만 많이 들었지요. 게다가 가끔씩 물고기까지 딸려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슬랫은 쓰레기가 저절로 모인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쓰레기가 어떻게 저절로 모일 수 있을까요? 해류, 즉 바닷물의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