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바지 염색 염료 이용해 '수분 → 전기'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수분 구동 발전기를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를 5월 7일 국제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에
발표
했다고 14일 밝혔다. 수분 구동 발전기는 수분을 이용해 발전기 내부의 전하를 띈 이온을 이동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주변의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유용하게 쓸 수 있어 차세대 ... ...
마야 인신공양 희생자는 남자 어린이…"쌍둥이 신화와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연구 논문을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이번 연구에선 치첸이트사의 지하동굴 저수조인 '출툰'에서 발견된 유골 64구의 DNA를 분석했다. 멕시코 유카탄반도의 치첸이트사는 마야문명 몰락 직전인 서기 800~1000년 번성한 도시로 어린이 유해 ... ...
동물실험 약물 20개 중 최종 승인 '1건'...대체법 마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위한 규제당국 승인으로 이어진다는 분석 결과를 14일 국제학술지 ‘PLOS 생물학’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평가한 122편의 문헌을 메타분석해 동물과 인간 대상 연구 결과의 일관성, 임상시험 및 사용 승인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치료법을 테스트하는 ... ...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배양한 결과를 4월 2일 미국화학회저널 ‘ACS 바이오소재 사이언스 & 엔지니어링’에
발표
했다. 도 교수는 ”일반적으로 세포 부착을 위해서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하이드로젤을 세포와 섞은 후 3D 프린팅을 이용해 입체적인 형태의 배양육을 형성한다“며 ”하지만 이 방법은 근육세포 배양에 ... ...
수면 부족으로 손상된 기억저장소, 회복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1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로렌 프랭크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우리 뇌 속에는 기억을 처리하기 위한 중요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 부분은 한 번 타격을 입으면 그 ... ...
의료계 잇따른 '휴진' 선언…병원노조 "교수들이 직접 진료 예약 변경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오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가 사직서 수리, 면허정지 등 행정조치 철회를
발표
했음에도 휴진을 강행하는 것은 명분을 상실한 무리수“라며 ”의료계는 대안도 없고 사회적 공감대로 얻지 못한 채 증원 저지만을 되풀이하며 집단행동을 강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환자를 볼모로 ... ...
마라톤, 중년에겐 '돌연사' 원인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고혈압 관련 논문 24개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 최신호에
발표
했다고 13일 밝혔다.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40~60세 중장년층의 과도한 달리기는 심장 돌연사를 일으키는 ‘운동 유발성 고혈압’으로 이어지기 ... ...
"여자가 더 오래 사는 이유는 생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밝힌 연구 결과를 1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
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수명이 긴 건 인간만이 아니다. 다른 동물에서도 확인되는 특징이다. 생물학자들은 생식이 성별 간 수명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보고 있지만 생식의 어떤 ... ...
노래 부르는 법 까먹지 않으려 연습하는 금화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노래를 부르는 이유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5월 28일 국제학술지 '커런트바이올로지'에
발표
했다고 12일 밝혔다. '노래하는 새'로 불리는 명금류인 금화조는 언어 학습을 비롯해 언어와 관련된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동물이다. 인간처럼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소리를 들으면서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뇌 영역을 발견하고 감정을 느끼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12일
발표
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11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다. 연구팀은 연구참가자 58명이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에 들어가 있는 동안 캡사이신을 이용해 통증을 자극하거나 초콜릿 용액으로 쾌락을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