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민"(으)로 총 2,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자의 눈] 과학문화 소외계층의 울타리동아사이언스 l2017.09.19
- 뿐이다. 숫자에 드러나지 않는 아이들은 그대로 외면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상 프로그램인 ‘창의과학교실’과의 격차도 두드러진다. 지원된 예산 안에서 나눔과학교실의 재료구입비로 쓸 수 있는 금액이 참가자 1인당 최대 5000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 ...
- [과학체험도 부익부빈익빈 下] 과학문화 행사 곳곳에 널렸지만… 문제는 접근성동아사이언스 l2017.09.13
- 즐길 수 있는 과학전시나 과학강연도 곳곳에서 열린다. 그러나 과학문화 소외지역의 시민들은 이렇게 개방된 콘텐츠조차도 정보의 접근성이나 물리적 접근성이 떨어진다. 특히 어린이나 학생의 경우 부모가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으면 정보를 얻기 어렵고, 정보가 있다 하더라도 교통편이나 ... ...
- [과학체험도 부익부빈익빈 上] 소외계층 위한 프로그램, 예산은 대도시에 집중?동아사이언스 l2017.09.11
- 다른 지역의 생활과학교실 관계자는 “생활과학교실에서 나눔과학교실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과학교실’ ‘가족과학교실’ ‘MAKE 과학교실’ 등) 다른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다 보니 같은 도시 안에서도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개설된다”며 “주변에 있는 시설이라곤 ... ...
- 식약처 ‘생리대 시험’ 비판, 시민·과학자 문제제기 억압하나동아사이언스 l2017.09.07
- 제약 조건 등 한계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며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함께 하는 시민과학은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 기존 제도에서 다루지 못했던 새로운 위험을 찾아내는 등 분명한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 ...
- 우리 가족이 만드는 4차산업 메이킹 프로그램 인기 UP!동아사이언스 l2017.09.06
- 메이커 참여 행사가 성황리에 마쳤다. 서부 경기문화창조허브(이하 서부 허브)는 시흥 시민들의 제조업, 콘텐츠, 4차산업에 대한 이해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우리 가족이 만드는 세상에 하나뿐인 드론/로봇/자율주행자동차’ 1차 프로그램을 열었다고 6일 밝혔다. 서부 경기문화창조허브 제공 ... ...
- ESC “박성진 장관 지명은 과학에 대한 청와대의 몰이해” 성명2017.09.06
- 도구적 시선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ESC는 과학자와 공학자가 주축이 된 시민단체로 회원이 9월 초 현재 기준 400명이 넘으며, 청와대가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박기영 순천대 교수를 내정했을 때 성명서를 내고 인사철회를 요청하는 등 과기계의 ... ...
- 백혈병 치료하는 새로운 유전자 치료제 미국 첫 승인 ... 아파트 값 넘는 치료비는 논란동아사이언스 l2017.08.31
- 지나치게 비싸다는 주장도 있다. 값싸고 보편적인 의약 서비스를 요구하는 미국의 시민단체 '적정 가격의 약을 원하는 환자들의 모임(Patients for affordable drugs)'의 '데이비드 미첼 회장은 영국 '가디언', '미국공영라디오(NPR)' 등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납세자들은 이런 면역세포 치료법 연구를 위해 2억 ... ...
- 정부, 내년에 우수 신진연구자 350명에 실험실 장비 지원동아사이언스 l2017.08.29
- 수주가 아니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인건비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시민과 현장 전문가, 연구자가 함께하는 ‘리빙랩(living lab)’을 신규 도입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미세먼지, 치안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적극 나선다. 치매 조기진단·예측 등 관련 연구를 확대하고 전국 ... ...
- 캐나다, ‘강도 현장 모성애’ 논란팝뉴스 l2017.08.27
- 5월 동안 8곳에서 벌어진 강도 사건의 용의자로 마이크 얼을 지목하고 체포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제보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해외 네티즌의 주목을 받은 위 사진은 웨스트모어 드라이브의 한 레스토랑에 촬영된 CCTV 영상 중 일부이다. 세 명의 강도가 현장에 들어왔고 한 명이 비비총으로 엄마와 ... ...
- 예술 작품 같은 목성의 붉은 폭풍 팝뉴스 l2017.08.27
- 것이다. 7월 10일경 미국항공우주국의 주노 우주선이 수집한 데이터를 근거로 두 명의 시민 과학자가 창조해낸 이미지다. 거대한 폭풍인 거대한 붉은 점은 무섭게 휘몰아치고 있다. 동시에 아주 멋있다. 태양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폭풍이라는 평이 과하지 않다. 뭉크의 절규에 나오는 그 붉고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