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공"(으)로 총 2,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가장 가까이 있는 공을 옮겼다. 공과 설탕물이 가운데 있는 상태만 본 벌들은 35%만 성공했고 평균 96초가 걸렸다. 한편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공을 검은색으로 바꿔도 세 그룹 모두 가까운 공을 가장 많이 선택해 굴렸다. 즉 공의 색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벌이 단순히 ...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하는 등 정서적인 연결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성공이 곧 자신의 성공이라고 느끼며 조직의 일을 자신의 일로 동일시하는 경향도 더 크게 보였다. 또한 이런 경향이 침묵하기로 한 이들의 결정을 일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박테리아보다도 게놈 크기와 유전자 개수가 적은 합성생물체 ‘JCVI-syn3.0’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화제가 됐다. 53만 여 염기로 이뤄진 게놈에 유전자 473개로 이뤄진 이 합성생물체는 비록 게놈은 화학적으로 합성했지만 어디까지나 진짜 생명체다. 즉 스스로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가속관(RFQ)에서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 IBS 제공 3명의 연구위원은 중이온가속기 건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몇 가지의 아쉬운 점도 털어놨다. 신생 조직인 만큼 행정 부담이 있다는 점과 정해진 기간 내 프로젝트를 완수해야 한다는 중압감이 크다는 것. 많은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2차원 반도체 신소재로 인간의 뇌 속 시냅스를 모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인간의 뇌 속 시냅스는 2개의 돌기(소자의 전극에 해당)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호의 잔상을 남겨 기억을 저장한다. 뇌는 이 같은 시냅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고도의 병렬연산을 빠르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내 실패는 내 탓이 아니라고!2017.02.01
- 못 봤을 시험이지만 이런 노력이 더해져 더더욱 못 보는데 성공했고 나는 정신승리에 성공했다. 실패를 얻고 자존감을 지켰다. 전형적인 Self-handicapping의 한 예이다. ‘내가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스스로 만듦으로써 실패할지언정 자존감은 지키는 행위이다. ● 다치기, 아프기, 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싫어하는 것은 자기 집단에 대한 ‘무시’와 ‘무관심’, 자신들이 적대하는 집단의 성공이라고도 언급했다. 합리적인 대화와 설득, 평등에 대한 메시지보다 우리 집단의 위대함에 타집단을 ‘굴복’시켜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이든지 다 쓸 수 있다는 메시지가 더 힘을 얻는 상황에서 ... ...
- [지뇽뇽의 色수다] (ep8) 어떤 여성들이 포르노 업계에 종사할까?2017.01.15
- 강압이 없는 환경에서 자발적인 선택으로 인해 단순히 ‘이 일이 적성에 맞아서’ 하는 성공적이고 행복한 여성 포르노 스타를 떠올리기만 해도 발칙하고 용납할 수 없는 것은 왜일까? "거짓말 하지마 너는 어렸을 때 학대를 받았고 사실은 자존감이 낮은거야"라고 해 가면서 지켜야 하는 어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2017.01.10
- ‘능력’이라고 하면 인지능력이 다인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 성격도 삶의 다양한 성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 기억해보자. (물론 위에서 언급했듯 인지능력과 성격 외에도 많은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것도 함께 기억하자) ※ 참고문헌 Borghansa et al. (2016). What grades and achievement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2016년 7월 13일자에는 몰리브덴황화물(MoS2)과 CNT로 이루어진 나노구조 음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연구팀의 논문이 실렸다. 몰리브덴황화물 음극은 흑연 음극에 비해 용량이 세 배나 되지만 구조가 불안정해 수명이 짧고 충전속도도 느리다. 연구팀은 교묘한 화학반응을 통해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