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 포커스] 대한민국 대표 수학자 박종일 교수,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다양체 난제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또 연관된 다양한 공부들도 해 왔지요.
결국
다른 논문을 쓰다가 난제를 해결할 힌트를 발견했어요. 그리고 2003년과 2007년에 중요한 결과들을 논문으로 발표할 수 있었지요. 소위 엉덩이가 무겁다고 하죠? 저는 그런 사람이 좋은 수학 연구자가 될 수 ...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약속한다. 두 여학생은 위험하지만 자존심이 걸린 약속을 한 것이다. 그러나 도연은
결국
약속을 어긴다.이 상황을 수학적으로 보면 조금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법정에 들어가면 약속을 지켜 겁쟁이를 피할 수 있지만, 민준국의 보복이라는 위험의 상황에 노출된다. 즉, 두 사람이 모두 법정에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곳이 식생이 풍부해 호랑이가 즐겨 찾던 곳이라는 점이다. 물가를 빼앗긴 호랑이는
결국
산속으로 들어갔다.17세기에서 19세기에는 산에 불을 지르는 화전이 극성을 부렸다. 과거 수전의 개발은 생산력의 증가로 이어지고, 그 결과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다.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더 많은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설명했다.곰복은 수학적으로도 매우 특별한 도형이다. 마치 오뚝이처럼 어떻게 굴리든
결국
같은 지점이 바닥에 오도록 자리를 잡는다. 오뚝이는 안에 무거운 추가 들어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에 의해서 벌떡 서지만, 곰복은 추가 없어도 저절로 일어난다. 이는 곰복에 수학적으로 안정된 평형점이 한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연구 중인 내용을 발표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내쉬는 발표 도중 말을 더듬거리더니,
결국
논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듯 이상한 말을 내뱉었다. 내쉬가 30년 동안 앓아온 정신분열증이 시작된 것이다. 내쉬는 정신분열증을 치료한 후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숙주의 성관계를 통해 또 다른 숙주를 찾을 만큼 충분히 길다는 점을 잊지 말자.
결국
인유두종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를 사멸시키는 면역체계를 농락할 뿐 아니라, 증식에서 다른 숙주로의 감염까지 인간을 제 목적에 맞게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항체를 역이용하는 뎅기열바이러스이전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강한 돌로마이트가 후두 꼭대기에서 마치 모자처럼 하부를 보호하고 있지만 후두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풍화에 의해 붕괴될 운명이다.브라이스 캐니언에는 아래를 돌아볼 수 있는 다양한 등산코스가 있다. 후두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고도가 낮아지면서 서서히 기온이 올라간다. 주변의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돼 세포에 남은 것인지는 흥미로운 논쟁으로 남아 있다).생물(숙주)의 유전체는
결국
바이러스 유전체의 ‘썩지 않는 무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분석하면 과거의 바이러스가 어떤 유전정보를 가졌는지 알 수 있다. 또 여러 생물들의 유전정보를 분석하면 바이러스가 어떤 숙주들을 감염시키며 ... ...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위한 목적이었던 겁니다. 이력서 같은 곳에까지 괜히 혈액형을 쓰게 만드는 게
결국
일제의 잔재입니다. 행여나 인사권자가 혈액형별 성격론을 믿는 사람이라면? 단순한 재미를 넘어 사회적으로도 피해를 끼치니 제가 까칠하게 굴만 하지요.물이 알긴 뭘 알아에모토 마사루의 책 ‘물은 답을 알고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눈꺼풀을 열 번 깜빡일 동안. 그러면서 눈을 길게 뽑고 7억 년 뒤면 붉게 죽어가다가
결국
은 충돌할 두개의 항성을 구경한다.“응.”미로는 죽지 않았다. 단지 뜻하지 않게 상처를 입었을 뿐이다. 나는 감정이 풍부한 편은 아닌데다가 직업적인 훈련을 통해 절제의 미덕을 쌓았음에도 조금 기뻤다. 왜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