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기술분야의 상호 교류를 통한 총체적 발전을 추구할 것이다. '구마모또'현의 과학기술
단지
설치계획은 주민의 적극적인 호응과 지원, 그리고 우수한 기술인력의 존재로 밝은 전망을 보이고 있다. 놀랄만한 보건통계-육식과 암의 관계 밝혀 일본은 보건통계는 서구의 의사들이 놀랄만큼 매의 ... ...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을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결집될 수 있으며 또 가용자원도 우선적으로 배분될 것입니다. 조: 이제까지 과학기술은
단지
경제발전의 수단으로서만 간주돼온 감이 있읍니다만 이제 과학기술진흥이 국가발전이라는 큰 테두리에서 재정의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이번 계획을 계기로 삼아 우리도 ... ...
'컴덱스'에서 활약한 아시아의 복병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공이 울려도 콤머도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타리도 전시장 중앙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10여대의 520ST들만 아타리창구에서 다른 소프트웨어와 함께 콧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콤머도어가 이 커다란 쇼에 결장한 것은 놀라운 사실이다. 프린터 이 붐비는 분야에서의 두드러진 경향은 '레이저'와 ... ...
수팽윤성 고분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50배 이하) 등의 흡수재료와 비교하여 흡수능이 월등하다. 게다가 종래의 흡수재료가
단지
섬유사이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리적 흡수로 압력을 받으면 흡수된 물이 거의 방출 되는데 반하여 고흡수성 고분자들은 흡수·팽윤 반응기구가 화학적 흡수이므로 일단 흡수된 물은 다소의 압력을 받아도 ... ...
암석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섬은 아직 생기지도 않았다. 당시에는 물론 이 지구상에 거의 생물이 살고있지 않았는데,
단지
단세포식물인 조류(藻類)와 박테리아들이 살고 있었을 뿐이다. 우리나라 땅의 뿌리가 맨 처음 내리기 시작한 쪽은 함경남도와 평안북도 지방이며, 그후 경기도 태백산 지리산 등 여러 곳으로 뻗어나갔고 ...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사람은 한명도 없었다는 것. 이런 데이터 만으로는 IQ가 높은 사람이 머리가 좋은지 또는
단지
중상급 정도의 사람일뿐인지 분명하게 구분이 되지 않았다.그래서 IQ테스트는 머리가 좋은 정도의 일부분 밖에 측정되지 않는다는 풀이가 나온다. 왜냐하면 지능테스트란 미리 지능이 어떤 것이라는 ... ...
물에 잠겨서도 숨쉬는 벼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어느나라에도 모내기는 홍수전에 끝난다. 따라서 홍수가 지면 벼는 물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어떻게 벼는 익사하지 않는걸까?'미시간'주립대학의 식 ... " '켄드'는 이렇게 탄식한다. "전세계 논의 약$\frac{1}{4}$에서 다른 아무것도 자랄 수 없고
단지
이 종류의 벼가 재배되는데도 말입니다. ... ...
습속으로 본 한국인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이어주는 매개체로 생각된 것이다.이러한 산과 나무는 '하늘 기둥'이었던 셈이니 그것은
단지
높아서 하늘에 닿기 쉬울 뿐만 아니라 세계의 한 복판에 자리잡고 있다고도 생각되었다.대부분의 민족 또는 인종은 그들이 사는 곳이야말로 참다운 세계라고 생각했었다. 따라서 그들이 사는 곳의 중심은 ... ...
과학용어-단절과 계승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를 '가백니'로 알고있던 1세기 전의 한국인들은 '갈릴레오'도 꽤 잘 알고 있었다.
단지
갈릴레오 역시 '갈릴레오'가 아닌 '알리류'(戛里留) 또는 '가리가'(嘉利珂) 쯤으로 알았을 뿐이다.다음으로는 우동(牛董)을 생각해 보자. 이 말에 점심 때 먹는 국수를 연상했다면, 그것은 오늘의 한국인이라는 ... ...
첫 신입생 뽑은 한국과학기술대학(KIT)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않을지 하는 등등 세상을 살아온 체험에서 우러난 걱정의 말이 많았다.학교와 대덕연구
단지
의 모습을 뒤로 하면서 '여기에 미래의 한국이 있구나' 하는 뿌듯함을 느끼는 동시에 '과학과 인간' '과학과 사회'라는 불균형개념으로 과학을 재평가하는 요즘의 추세도 머리에 떠 올랐다. 어느 학자의 말이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