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프로판가스라고 부른다. 석유가스에서 매탄을 제거하고 난 후 다시 프로판과 부탄을
분리
시켜 -2백℃에서 액화시킨 것이다.휘발유끓는 점이 30-2백℃인 휘발성 액체를 말하며, 석유제품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경유끓는점이 2백-3백70℃이며, 정제과정에서 등유 다음으로 유출된다. 대부분의 ... ...
NASA를 끌어가는 핵심조직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관심있게 연구한다. 핵심 프로젝트는 스텔스전투기인 X-36를 개발하는 것. 이 비행기는
분리
형 날개를 사용해 꼬리를 없앤 것이 특징이다. 이름은 1927년-1939년 동안 NASA의 전신인 NACA위원장을 지낸J.S. 에임스를 기념한 것이다. 드라이덴연구센터(DFRC)에드워드 공군기지 곁에 있다. 1946년 9월30일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먼저 전통적인 수정란 복제 방식을 살펴보자(①).4-32개 사이의 분할소구가 형성된 난자를
분리
한 뒤 모세 유리관으로 산을 처리해 당단백질막인 투명대에 구멍을 뚫는다. 이때 모세 유리관을 구멍 속으로 삽입해 분할소구를 하나씩 꺼낸다.분할소구를 삽입시킬 미수정란을 다른 동물로부터 채취한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이론에 의하면, 양성자나 중성자를 이루고 있는 쿼크를 낱개로
분리
시키는 데는 무한대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의 실현가능성은 더욱 희박하기만 하다.불확정성의 원리인간의 몸을 이루고 있는 원자들에 담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어느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시행되고 있다(그림 2). 먼저 적혈구나 백혈구와 같은 혈구 성분과 이를 제외한 혈장을
분리
시킨다. 혈장의 대부분은 물이며, 단백질을 비롯한 영양분과 노폐물이 포함돼 있다. 이때 혈장만을 확실하게 걸러낸 후 환자에게 되돌려주고, 혈구 성분은 그대로 반환시킨다.현재 개발된 정화시스템의 ... ...
우리나라 송전의 새 장 열어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큰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고가 나면 사고부분이 전력 계통에서 즉시
분리
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한다.우리나라는 해방 후에도 일제시대에 주로 쓰던 소호선륜(消狐線輪)방식의 접지를 계속 채택해 왔다. 이 방식은 접지사고가 났을 때 사고전류를 자동적으로 없애주는 보호장치다.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폐기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없는 이유다. 예를 들어 혈액이 바깥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인공심폐기의
분리
막은 물과의 접촉을 꺼리는(소수성) 물질로 만들어졌다.초기에 인공심폐기는 수수을 받는 환자에게만 사용됐다. 하지만 막형 인공심폐기의 기술이 점차 개발됨에 따라 폐렴과 같이 일시적으로 폐의 기능이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원시적인 형태가 존재했다. 환자 팔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뽑아 막으로 중심이
분리
된 혈액투석기의 한쪽 공간으로 흐르게 한다. 이때 다른쪽 공간은 건강한 개의 혈액이 흐른다. 환자의 혈액에는 독성물질이 많기 때문에 막 사이의 농도 차이로 인해 독성물질은 개의 혈액쪽으로 침투한다. 이 ... ...
2. 음식 속에 숨은 영양소 어떻게 알아내나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붙어 있는 긴 사슬의 탄소원자로 되어 있다. 지방이 소화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리
돼 혈액을 타고 몸의 각 부분으로 이동한 후 다시 새로운 지방으로 재조합된다.섭취된 지방은 인체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지방은 세포막에 필수적인 구성성분이다. 지방은 g당 가장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고 ... ...
빵 반죽·발효·굽기의 3박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최초로 이스트균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것을 계기로 이스트균의
분리
배양이 가능해지고 빵 발효에 이용할 수 있게 됐다.이스트(Saccharomyces cerevisiae)는 엽록소가 없는 단세포 식물이다. 식물학상 곰팡이류에 속하지만 균사체가 없기 때문에 곰팡이와는 구분된다. 폭 0.004-0.00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