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RG코리아 대표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전문연구요원△박지혜, RG코리아 생물정보학 담당서울대 의대 바이오정보의학연구실 박사과정생 -왜 난치병 어린이들을 도와야겠단 생각을 했나요?최: 2014년, 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미국 레어지노믹스(RG) 지미 린 회장의 강연이 계기가 됐어요. 미국 RG는 ... ...
- [과학뉴스] 혈당 재고, 약 넣어 주는 ‘당뇨 패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개발했다. 지금은 혈당 수치를 확인하려면 손가락 끝에서 피 한 방울을 내야 한다.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이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미량의 땀으로 혈당 수치를 재고, 위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약물을 주입하는 ‘당뇨 ... ...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오늘 날씨 어때?”“현재 서울 하늘은 흐리고 오후 늦게 비가 오겠습니다. 호우주의보가 내려졌으니 주의하세요!”아리? 아리가 누구길래 오늘 날씨를 알려주는 걸까. 아리는 SK텔레콤에서 2016년 출시한 음성인식 스피커 ‘누구’의 이름 중 하나다. 이전에도 음성인식 서비스는 여럿 있었지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깡통 로봇을 만들었다는 감독님의 이야기에 기자단 친구들이 웃음을 터뜨렸어요.원지은(서울 성내초 3) 친구는 “태권브이의 역사를 홀로그램으로 감상하니 더 실감났다”며, “할아버지가 직접 이야기해 주시는 것 같아 귀에 쏙쏙 들어왔다”고 말했어요.출동! 로보트 태권브이실제로 태권브이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선고문에서 유추하건대, 흥미진진함이란 결국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온다. 이석원 서울대 음악학과 교수는 저서 ‘음악하는 뇌’에서 “새 정보를 접할 때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놀라움, 새로움, 변화, 복잡성, 모호성을 든다”며 “음악과 감상자가 이른바 ‘밀당’의 게임을 벌이는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졌다. 그러나 청계 고가 도로를 완전히 철거한 이후, 서울 도심의 교통 흐름은 오히려 철거 이전보다 원활해졌다. 도로를 없앴더니 오히려 교통 체증이 풀린다는 명제는 독일의 수학자 디트리히 브라에스의 이름을 딴 ‘브라에스의 역설’이다. 교통 체증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레고 구조대, 해양생물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해양쓰레기를 치우는 미션도 있어서 바다 환경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답니다.최승원(서울 돈암초 5) 친구는 “투구게를 포함한 다양한 해양생물들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있어 정말 신기했다”며, “무엇보다 레고 체험을 통해 구출 작전에 참여한 것이 가장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고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전봉희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의 사무실에는 여느 건축학과 사무실에 흔한 건축모형이 하나도 없었다. 대신 한 켠에 고풍스러운 한옥식 문과 한옥 ... 세속에서 벗어난 자연 그대로의 공간을 의미한다.서울대 공대 39동 앞에 있는 이 건물은 서울대 안에서 나무로 만든 유일한 한옥 건물이다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이 논문이 좋은 예”라고 밝혔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도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설계시 신뢰도와, 상용화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있다”며 “기술을 제품화할 때 참고하기 좋은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준으로 약 387조5794억 원에 이른다.1931년 5월 4일 서울에서 태어난 강대원 박사는 1955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59년 벨 연구소에 들어간 지 1년 만에 마틴 아탈라 박사와 함께 모스펫을 발명했다.모스펫은 실리콘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