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슨 이유로 이 우주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지 알고 싶어할 것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우주의 보편성을 믿었다. 우주가 한쪽 방향으로 특이한 진화를 한다는 것은 현대 과학이 기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리를 흔드는 발견일 것이다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넓은 통유리로 돼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고 해요. 누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겠죠. 연구실은 연구원들의 취향에 따라 꾸며져 있는데, 선반 하나를 디즈니 공주 인형들로 채운 방이 있는가하면, 스타워즈 캐릭터들로 가득한 방도 있습니다. 디즈니 리서치 연구원들에게는 모든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파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지하 10~40km 구간에 걸쳐 마그마 방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크기나 치우친 방향이 정확하지 않았다. 땅속은 인체나 사물처럼 360° 각도에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성파 탐사, 자기지전류(MT) 탐사, 전기비저항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받으면서 변형되는 모습이 나타났고, 어느 부분이 가장 큰 힘을 받으면서 변형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김 선임연구원은 “과거 M&S 지원을 받았던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현재 헤모스의 성능과 안정성 등을 시험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에는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과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제기한 ‘로바스의 추측’의 특수한 경우입니다. 로바스는 조합론 분야에서 매우 잘 알려진 대가로, 이 문제를 제시할 당시 21살에 불과했습니다.로바스는 우리나라와도 인연이 깊어서 2014년에 열린 세계수학자대회를 유치할 당시인 2009년 국제수학자연맹의 회장으로, 우리나라를 여러 번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36명의 감염자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프렙의 예방 효과가 44%라고 결론 내렸다.알약 외에도 질이나 항문에 바르는 겔 형태의 예방약도 있다. 미국 콜럼비아대 마일만공중보건대 역학과 콰라이샤 압둘 카림 교수팀은 여성용 HIV 살균제를 개발해 2010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doi: 10.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복잡하게 생긴 데다, 폐기종이 심할 경우 구멍 나기 전의 폐포가 원래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다. 이때 건강하게 남아 있는 조직의 프랙탈 법칙을 분석하면 비어 있는 공간의 구조도 추측할 수 있다. 황 박사는 “폐기종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기도처럼 프랙탈 구조를 띤 다른 부위가 손상됐을 때도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한다. 터보차저를 쓰는 이유도 엔진을 가볍게 만들기 위해서다. 최근에는 차체를 알루미늄과 탄소섬유로 만들어서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탄소섬유는 섬유를 비활성기체 속에서 태운 뒤 가공한 것으로, 무게는 같은 부피의 철에 비해 4분의 1로 가벼우면서도 10배 더 강한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사 속 기록을 보면 사람들이 오랜 기간 동안 버섯을 여러 분야에 걸쳐서 이용한 것을 알 수 있어요. 함께 버섯을 탐구해 봐요!버섯은 균류에 속하는 생물이에요. 곰팡이와 친척이지요. 통통하게 살이 오른 자루와 갓 아래에는 복잡하게 얽힌 실과 같은 균사가 가득 있답니다. 사실 이 균사가 버섯의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생물 게놈 지도를 만드는 것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연구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지요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