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먹지요. 먹힌 친구들을 위해 잠시 묵념. 광합성이나 산소에 의존하지 않고 화합물을 통해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열수구 생태계는 ‘화학합성생태계’라고 불러요. 해저 열수구의 황화수소를 이용한 화학합성생태계는 가장 깊은 바다인 마리아나 해구(수심 1만1034m)에서도 발견된다.열수구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지구온난화를 막아 북극을 지키는 일이었어요! 어과동 친구들도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가스를 줄이는 지구온난화 방지 운동에 모두 함께 하기로 약속~!특집 한 걸음 더 북극에서 온 편지한창 마감을 하고 있던 편집부에 편지 한 통이 도착했어요. 하얀 봉투에는 ... ...
- 괴물블랙홀 헌터 누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얻기 어려웠답니다.NASA 과학자들은 지난해 6월, 먼지와 가스도 뚫고 지나갈 수 있는 고에너지 X선을 사용하는 누스타(NuSTAR, Nuclear Spectroscopic Telescope Array)를 우주로 쏘아 올렸어요. 누스타는 이전에 쏘아올린 위성망원경보다 X선에 대해 100배나 더 예민하고, 10배나 더 선명한 영상을 보낸답니다.지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공통조상은 유전물질인 DNA를 갖고 단백질을 만들 수 있고,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또 세포분열을 할 수 있다.최초의 화석인류는 ‘루시’과학자들은 세계 곳곳에서 발견한 유인원의 화석을 분석해 공통조상으로부터 사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분석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 ...
- 미리 본 생태교통 수원2013 자동차 없이 생활하는 미래 도시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좋은 거지?화석연료를 다 써버린 미래를 미리 경험하며 대비할 수 있어. 또 온실가스와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방법도 찾고 말이지.미래를 미리 경험하는 수원 행궁동9월 한 달 동안 차 없이 생활하는 수원 행궁동은 도로를 사람들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기 편리하게 바꿨어. 이곳을 방문하는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아무리 크기가 작더라도 최고 초속 72㎞나 되는 엄청난 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충격 에너지가 엄청나거든요. 예를 들어 6500만 년 전 지구에 떨어진 소행성의 지름은 약 10㎞, 도시 하나 정도의 크기였지만 공룡을 포함한 지구 생물의 약 75%를 멸종시켰을 정도로 강력했지요.하지만 유성우는 대부분이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아주 빠르게 일어나게 하면 무시무시한 원자 폭탄이 되지만, 속도와 양을 조절하면 에너지를 만드는 원자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수십 명 전문가의 의견 수렴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만에 하나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대비해 방재센터를 함께 운영하고 있어. 평소에는 지방감시소를 통해 자연, 인공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천℃지름 약 2m(큰 줄기)전류 세기 약 3만A(암페어) = 전구 14,000개를 24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에너지번쩍번쩍, 번개는 어떻게 생길까?주황빛 하늘을 신기하게 쳐다보다 순간 ‘번쩍’하는 빛에 깜짝 놀랐어! 빛의 모양이나 천둥소리가 들린 걸 봐서는 번개인 것 같은데…. 이상한 게 지금 비는 한 방울도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마지막 문제다음 보기에서 얼음으로 할 수 있는 일을 모두 고르세요.① 청소하기 ② 에너지 저장 ③ 불을 끄는 데 이용 ④ 정답 없음얼음분사로 청소 끝!이산화탄소를 얼린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얼음분사 기술을 청소에 쓰고 있다. 작은 드라이아이스를 초음속으로 뿌리면, 표면의 이물질과 ... ...
- 류현진 강속구 비결은 인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위해 팔을 뒤쪽으로 젖힐 때 어깨 근육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물체를 던지는 순간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해요. 이 덕분에 앞으로 길게 뻗은 팔에 가속도가 붙어 물체가 빠르게 날아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대학 야구 선수들이 공을 던지는 동작을 3D로 촬영하고 분석해 이런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