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자"(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윤 박사는 캐나다의 토론토대학 교수로 있다.맨 오른쪽에 서 있는 박재영 박사(6회)는 원자핵 물리학을 전공하고 현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수(미국에는 정년퇴임제가 없다)이고 그 옆에 계신 분은 우리들 전체의 은사이신 조준탁 박사(1회)다. 조 박사는 KAIST로 바뀐 한국 과학원(KAIS)의 3대 ...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3년 10호
- {10}^{-47}$ 뉴턴따라서 이 경우 전기력이 만유인력보다 ${10}^{39}$배나 크기 때문에 전자를 원자핵에 붙잡아 두는 구심력은 전기력만을 고려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그러나 달을 지구에 붙잡아 두는 힘, 우리를 땅에 붙이고 있게 하는 힘, 등산하는 사람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은 전기력이 아니라 ... ...
-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로봇왕국이란 별명답게 일본관에서는 유체로봇 외에도 다양한 로봇을 만날 수 있다. 원자로 극한 작업 로봇은 실물이 전시돼 있으며 멀티 스크린을 통해서는 소방로봇 도장(塗裝)로봇 벽면보행 로봇 등이 소개된다. 특히 제 3전시구역의 실연(實演) 스테이지에서는 인류가 안고 있는 과제에 대한 ...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두개의 상대성이론이 현대 물리학에 미친 영향은 아무리 말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원자폭탄이 폭발할 때 나 오는 에너지의 근원은 특수상대론의 질량―에너지 법칙으로 계산되고 중력장에서 빛이 굽어지는 정도는 일반상대성이론을 이용하면 쉽게 계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이론을 통해 ...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경우는 물의 위치에너지, 화력발전은 석탄이나 석유가 갖는 화학에너지, 원자력발전은 원자핵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전하량이 보존되는 것을 확인하려면 불을 켜기 전의 전하량과 후의 전하량을 재야 되는데 1A(암페어)의 전류란 1초에 1쿨롱의 전하가 ...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기장 탁월한 수학자의 반열에 오르는 학문적 명성을 얻었다.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는 원자탄 등 병기 개발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세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인 에니악(ENIAC)프로젝트의 기술자문을 맡은 것이 계기가 되어, 골수암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말년을 컴퓨터 과학의 이론 정립에 ...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전자액체이론이 역시 옳았다고 확신한다. 따라서 공액의 길은, 즉 와이어노릇은 금속원자 틈새 공간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세번째 장벽은 준거 장벽(criteria barrier)이다. 하루에도 몇십편 이상의 논문이 새롭게 보고가 되는 정보의 홍수 시대는 87년부터 3년간 계속된다. 그러나 90년 들어서 식기 ... ...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관측하기 전에는 그 상태 자체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정지해 있는 원자핵에서 두개의 중성자가 튀어 나왔다고 하자. 우리들이 그중 한 중성자의 운동방향을 관측하기 전에는 중성자는 어떤 방향이든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나오는 것은 다만 ...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어서 거기에 충돌한 분자를 흡착하게 된다. 분자는 결합에 사용하고 있는 원자가 전자를 이용해 고체표면에 흡착한다. 이때 분자의 결합 이 현저하게 약화되기 때문에 작은 에너지만으로도 흡착된 분자의 결합을 파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만일 철 촉매가 없다면 결합을 ...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폴리머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돌턴으로 표시되는데, 가령 탄소원자 한개는 12돌턴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대의 폴리머는 전분의 주성분인 '아밀로펙틴'으로, 9천만 돌턴이다.스터프는 자신이 합성한 폴리머는 1천만 돌턴 이상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본 것중 큰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