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유"(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능력 덕분에 소문난 장사꾼이 됐지.” 임금님은 그제서야 꿀록 탐정에게 지니를 찾은 이유를 설명해 주었어요. “어휴, 더워서 램프 안에 있을 수가 없네.”그때였어요. 가게 앞에 있던 램프가 펑! 소리를 내더니 그 속에서 지니가 나타났어요!“어? 오랜만이에요, 임금님! 무슨 일이세요?”“지니, ... ...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하지만 범인이 잡힌 것은 아닙니다, 임금님.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요? 헛소문을 퍼뜨린 이유는 무엇일까요?”개코 조수가 이렇게 묻자 꿀록 탐정이 대신 대답했어요.“우선 헬륨을 쉽게 구할 수 있는 백성이 누구인지 조사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범인을 좁힐 수 있겠지요.”그 말을 ... ...
- 달 심우주 탐사 전진 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진행하며 신뢰를 쌓아온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Q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달 탐사는 인류의 활동 영역을 넓히는 매우 중요한 일이에요. 특히, 아르테미스 계획은 달 탐사뿐 아니라 화성 탐사로도 이어져요. 이는 지구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거예요. 다른 ... ...
- 음식물 쓰레기에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똥파리들 사이에서는 A초등학교가 음식물 쓰레기(이하 음쓰) 맛집으로 유명한데요, 그 이유를 알아보니 급식실 한 켠에 어린이 친구들이 남긴 음식(잔반)이 쌓이고 있어서라고 합니다.도대체 왜 갑자기 이 초등학교에 음쓰가 쌓이게 된 걸까요? 무슨 일이 생긴 건지 알아보기 위해 제가 직접 급식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과정에서 가스 압축이 일어나며 자연적으로 많은 별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답니다.한편 연구팀은 은하 B14-65666의 별의 총 질량이 우리 은하의 10%에도 못 미친다고 추정했어요. 질량이 작다는 건 은하가 진화 초기 단계에 있다는 증거예요. 다른 은하와 합쳐지는 과정도 은하의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유심히 살펴보세요. 뜨거운 음식물에 뱃속을 델 수 있다?! 반려새가 병원을 찾는 흔한 이유 중 하나는 화상이에요. 주로 피부 표면이 아닌 몸속 화상인데 보호자가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음식물을 충분히 식히지 않고 새에게 줘서 발생한답니다.조류는 식도 바로 아래에 먹이를 임시로 저장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속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붉은색의 색소 단백질이 있어 붉게 보이지요. 피가 빨간색인 이유도 바로 이 적혈구 때문이에요. 하지만 적혈구는 이름과 달리 구 모양은 아니고, 오목한 둥근 원반 모양이랍니다.골수에서 만들어진 적혈구의 수명은 약 3~4달이며, 간이나 비장, 골수로 이동해 생을 ... ...
- [과학뉴스] 개의 눈이 선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6월 17일,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줄리아나 카민스키 연구원팀은 개가 선한 눈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 6마리와 늑대 4마리를 해부해 얼굴 근육을 비교 분석한 결과, 늑대와 달리 개는 눈윗근육과 눈옆근육이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나리오에 따르면 2019 PDC는 최근까지 존재조차 몰랐던 소행성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궤도부터 추정하려고 서둘렀어요. 왜 2019 PDC는 지금껏 발 ... 대응하기 어려워요. 모의 훈련에서 과학자들이 2019 PDC의 궤도 추정에 3년을 써야 했던 이유랍니다.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소행성, 하루 빨리 하나라도 더 발견해야훈련에 참여한 김명진 연구원은 실패 이유에 대해 “2019 PDC의 물리적 특성을 몰라 효과적으로 궤도를 변경할 시간이 촉박했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NASA 등은 근지구소행성을 발견하고 궤도를 파악한 뒤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