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또 케이블이 사람들의 실수로 잘리거나 물고기의 공격으로 고장 나는 일도 많았답니다.이후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은 광케이블이 개발됐어요. 광섬유는 빛을 이용해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가느다란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유리에 특정 각도 이상의 빛을 비추면 빛이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해요. 매일 몇 시간씩 수년 간 돌고래를 관찰한 결과지요.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한 이후부터는 이를 천천히 따라다니며 돌고래의 행동을 꼼꼼히 기록했어요. 이 기록들이 모이면 남방큰돌고래의 습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요. 드론을 꺼내 바다 위로 날리기도 했답니다. “집단의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떨어졌답니다.연구진은 일단 곰돌이 젤리를 녹인 다음 원하는 형태로 다시 굳혔어요. 이후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해 젤리 표면에 탄소 잉크를 전극 모양으로 프린팅했지요. 그 결과 단일 세포나 몇 개의 세포에서 전달하는 미세한 신호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연구를 이끈 노우란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빛나는 모양은 ‘브릴리언트 컷’으로 가공했을 때예요. 17세기부터 시작된 이 방법은 이후 여러 학자들이 연구하며 발전했지요. 그리고 1919년, 벨기에의 보석 세공사이자 수학자였던 마르셀 톨코스키가 가장 이상적인 모양의 다이아몬드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다이아몬드를 총 58면체로 깎는 ... ...
- Part 5. 다이아몬드 합성 공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다이아몬드가 굴러가서 자연스럽게 구에 가까운 순서대로 1번부터 9번까지 분류돼요. 이후 가공을 거쳐 여러 공업 분야에 쓰인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보석부터 지구의 타임캡슐까지, 다이아몬드의 활약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Part 2. 다이아몬드는 ... ...
- Part 2. 한반도 바다에 나타난 낯선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넓은띠큰바다뱀’이 대표적이지요. 2012년과 2015년에 각각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해안가에 종종 출몰하고 있답니다. 한반도 바다의 수온이 올라가면서 새롭게 발견되는 것들은 또 있어요. ‘파란고리문어’와 ‘넓은띠큰바다뱀’이 대표적이지요. 2012년과 2015년에 각각 제주도에서 ... ...
- [실전! 반려동물] 반려견 여행 과 함께 을 떠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그다음 반려견의 반응을 살피며 이동장을 들어 집 앞에 잠시 나갔다 와 보는 거죠. 이후 점차 훈련시간을 늘리면 반려견은 결국 이동장을 편하게 인식할거예요. 어질어질~, 반려견도 멀미를 한다?!차를 타고 한참 꾸불꾸불한 길을 가다 보면 어느새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가 지끈지끈한 멀미가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계속 발생하고 있거든요. 2013년에 처음으로 환자가 발생해 그 해 36명이 SFTS에 걸렸고, 이후 계속 그 수가 늘어 작년에는 무려 272명의 환자가 발생했답니다. 올해도 벌써 5월까지 18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그중 7명이 사망했지요. 안타깝게도 SFTS는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요. 따라서 진드기에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받은 GPS 정보를 계산해 오차를 줄이고, 이 정보를 정지궤도위성으로 쏘아 올려요. 이후 이 정보를 항공기나 위치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보내면, 좀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지요. 이 전체과정은 2초가 채 걸리지 않는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2020년부터 사용을 목표로 한국형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표준시를 정했어요. 이후 남북이 분단되고, 남북 표준시가 수차례 바뀌다가 2015년 광복절 이후 한국은 동경 135°를, 북한은 127.5°를 기준으로 하는 표준시를 써 왔답니다. 그러던 중, 4.27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제안으로 북한의 표준시를 남한에 맞췄지요. [2018년 5월 26일] 한 달 만에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