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12일간의
일정
을 마치고 12월 19일(현지시각) 폐막했다. 회의에 참석한 193개국의 정상과 대표들은 폐막일 새벽 ‘코펜하겐 협정(Copenhagen Accord)’에 합의했다. 이번 협정에서 당사국들은 세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구의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SF영화에서 나오는 우주정거장은 대부분 도넛 모양이다. 우주정거장은 지구 주변에서
일정
궤도를 돌면서 위성이나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우주선에 연료를 보급하고, 우주인들이 과학 실험을 할 수 있는 대형우주구조물이다. 지구에 있는 네모 반듯한 건물과 달리 우주정거장 모양이 특별한 이유는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씩
일정
하게 커지는 등차수열이며, 각 수는 모두 소수입니다.7 37 67 97 127 157이 수열도 30씩
일정
하게 커지는 소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입니다.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소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이 얼마나 길어질지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이에 타오 교수는 영국의 수학자 벤 그린 교수와 함께 연구한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경감님, 여기 어디 다잉메시지가 있을 겁니다. 연쇄살인범들은 살인도 의식처럼
일정
한 절차에 따라서 하죠. 빨리 찾아보세요.”그 사이 허풍과 도형은 경찰의 눈을 피해 항구의 뒷골목으로 달아난다. 4. 코사노스트라의 음모“아이 참, 선생님 그 쪽이 아니라니까요. 이 쪽으로 오세요.” 창고에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4∼5개 모여 1달이 되고, 1달이 12개 모이면 1년이 되는 것입니다. 뉴턴은 물리적 시간이
일정
한 속도로 흐른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한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고 저장도 불가능하다고 했습니다. 물리적 의미에서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다는 뜻이지요. 사람마다 사용하는 시간은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0만 년 전에 시작되었어. 우리가 흔히 빙하시대라고 부르는 때가 바로 이 때야. 이 때부터
일정
한 주기를 가지고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야. 약 1만 8000년 전 빙하로 뒤덮인 지구마지막으로 있었던 가장 큰 빙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1만 8,000년 전에 있었다. 이 때 연평균 기온은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
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데 이 발견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대풍을 맞았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홍어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더없이 반가운 소식이다.
일정
기간 동안 물고기를 잡지 못하게 막는 금어기 제도가 운영되고 바다 밑바닥까지 싹싹 훑어 씨를 말리는 저인망 어선을 단속한 덕분이다. 자연은 정직해서 언제나 자신이 받은 만큼을 되돌려준다. 인간이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마리 퀴리에 의해 폐기된다. 19세기 후반에 퀴리는 강한 자성을 지닌 금속물질이
일정
한 온도(800℃) 이상에 다다르면 자성을 잃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퀴리 온도’라고 부르는데 지구 내부의 핵은 그 온도가 3500℃를 넘는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구 내부의 물질은 결코 자성을 지니지 못한다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흘러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최 팀장은 “펜대의 아랫부분을 보면 물고기 아가미처럼
일정
한 간격으로 판들이 막고 있다”며 “잉크통에서 잉크가 좀 새더라도 여기에 걸려 볼펜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잉크통과 펜 끝 사이는 지름이 불과 0.5mm인 얇은 관으로 연결돼 볼이 굴러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