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Pisa Tower No More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많이 기울어진 탑일까? 우리는 알지 못한다. 유럽에 있는 오래된 모든 탑의 기울기를 측정
하기
전까지는 가장 많이 기울어진 탑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사탑들에 대한 이런 이야기들은 여행할 곳이 많아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마치 기울어진 탑을 붙잡고 있는 것처럼 사진을 찍을 수 있다.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현대 물리학의 뿌리를 흔들어놓는 과격한 주장이다. 장소에 따라 물리학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구의 물리학과 안드로메다 은하의 물리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물리 법칙은 우주 어디에서나 그리고 어느 때에나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물리학을 부정하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러시아의 우주전파망원경 라디오아스트론이다. 전파는 지구 대기를 문제없이 통과
하기
때문에 굳이 우주에 망원경을 올릴 필요가 없다. 오히려 큰 전파망원경은 지상에서 만드는 게 더 쉽다.전파망원경이 우주로 올라가는 것은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기 위해서다. 전파망원경은 망원경 하나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문은 미끄럼 방지 기능 보다는 촉각을 예민하게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 연구자들은 말단의 신경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를 만든 뒤 하나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감싸고 하나는 손가락 끝 피부처럼 미세한 요철이 있는 재질로 감쌌다. 그리고 유리 표면을 훑게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박지원 선생님을 찾아갔다.“연구를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구체화
하기
위해 일종의 브레인 스토밍을 했죠. 계속 얘기했어요. 낙엽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생각보다 다양하더라고요. 학생들의 아이디어 중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함께 판단했죠.”여러 아이디어 ... ...
꼬마 사육사의 맹금과 친해지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맹금의 두 다리를 연결하는 가죽끈. 맹금은 커다란 날개를 갖고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사육사가 붙잡을 수 있는 부분이 다리뿐이다. 따라서 제스는 맹금이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면서 도 사육사가 편하게 붙잡을 수 있도록 돕는다. 닛시닛시는 특별한 매듭 방법이다. 매듭을 묶은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홈의 두께를 결정한다. 안쪽 홈이 가장 넓게 설계 된 것은 그 부분이 배수가 더 잘 돼야
하기
때문이다.➋ 타이어 중간 중간에 작은 홈을 파놓아 타이어 안쪽에 물이 더욱 잘 빠져 나가도록 돕는다.➌ 타이어의 바깥쪽은 자동차가 회전할 때, 자동차가 많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헤매곤 하지. 하지만 모일러 주사위를 굴리면 주사위의 빨강 화살표가 늘 우리 집 쪽을 향
하기
때문에 길을 헤매지 않을 수 있다고.”“뭐 그런 주사위가 다 있담? 아무튼, 모일러 주사위를 만들어서 굴리기만 하면 너의 집을 찾을 수 있다는 거지? 좋아. 어떻게 하면 되는데?”“간단해. 모일러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촬영한다. 파노집의 무게는 무려 15kg이나 되지만, 이를 메고 한라산 정상까지 촬영을
하기
도 했다.모든 방향을 찍는 360° 카메라에 담긴 ‘투영’상점 내부와 거리를 생생히 보여 주는 360° 카메라 촬영기술에도 수학이 있다. 우선 4대의 어안렌즈가 달린 카메라를 전후좌우 사방에 설치한 뒤, 이 사진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포식자에 대한 변수는 포식자의 크기와 이동속도 2가지로 한정했어. 실험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야.실험 결과 송사리는 포식자의 크기가 클 때, 그리고 이동속도가 느릴 때 가장 많이 도망치는 것으로 나타났어. 도망치기 위해선 일단 포식자를 잘 봐야 하거든. 실험에서는 1/30초 단위로 송사리의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