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뉴스
"
문제
"(으)로 총 14,857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민간 개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지난달 8일 애스트로보틱이 달 착륙선 ‘페레그린’을 발사했지만 발사 직후 연료 누출
문제
로 지구 대기권에서 연소됐다. NASA와 CLPS 계약을 한 우주기업은 총 4곳으로 인튜이티브 머신즈는 총 3회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흡연은 금연 후에도 몸에 흔적 남긴다…"면역반응에 큰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사이토카인 분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CMV의 경우 정상인에게는 별
문제
가 되지 않지만 에이즈 환자나 신생아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흡연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수정할 수 있는 환경요인이 면역 ... ...
매년 15만명 늘어나는 뇌졸중…"의대 증원보다 전공의 증원이 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전면 수정을 제안했다. 뇌졸중은 환자 진료 부담이 크지만 당직비가 없다는 점도
문제
로 보았다. 권역센터는 당직비가 있지만 3만원을 청구할 수 있는 수준이다. 권역센터가 아닌 의료기관은 온콜 당직을 서도 당직비가 없다. 응급실 진료에 대한 보상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이사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
문제
에 관한 칼럼과 논문 29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美 민간 달 착륙선 발사 준비 완료…두번째 달 착륙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을 우주로 발사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페레그린은 발사 후 몇 시간 만에 연료 누출
문제
가 발생해 달 착륙을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열흘 뒤 대기권에 재진입해 불타 사라졌다. NASA와 CLPS 계약을 한 기업은 4곳이다. 이 가운데 인튜이티브 머신즈는 가장 많은 주문을 따내 3차례의 임무를 수행할 ... ...
[과기원NOW] UNIST, 수소 고밀도 저장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수소화붕소마그네슘 구조’를 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소를 저장하거나 운송할 때
문제
가 되는 낮은 수소저장용량을 고밀도 흡착기술로 개선했다. 수소는 분자 간 상호작용이 매우 약해 대용량 저장이 어렵다. 압력을 700기압까지 크게 높이거나 온도를 영하 252도까지 낮춰야 저장 가능하다. ... ...
피 검사로 치매 발병 10년 전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약 5500만명에 달한다. 길을 찾기 힘들거나 주변 사람들을 알아보지 못하는 등 기억력
문제
가 생겨 진단을 받을 때 이미 치매가 상당 기간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 치매 진행을 막기에는 너무 늦은 때라는 의미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 치매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어야 치매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 ...
영하 40도에도 안 어는 아연전지…"전기차 성능 저하 막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물 기반 전해질의 고질적인 저온 성능
문제
를 해결함으로써 극저온 환경에서 기존 리튬이온전지 성능을 넘어설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며 “특히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를 가로막는 큰 기술적 장애물 중의 하나인 저온에서의 성능을 해결하는데 ... ...
100큐비트급 양자컴으로 푼 조합 최적화 계산데이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있다. 지난해 KAIST 연구진은 20큐비트급 리드버그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최대 독립집합
문제
풀이를 시연했었다. 이번에 KAIST 연구진이 공개한 데이터는 최대 141큐비트를 활용해 70만 종류 이상의 그래프 최적화를 계산한 결과다. 양자컴퓨터 계산 결과와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은 관련 분야 ... ...
실제 뇌기능 구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확인했다. 세포의 유형이나 세포의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기존 오가노이드의
문제
를 개선한 것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뇌 세포 유형으로 발달할 수 있는 인간의 신경 및 신경교 전구세포를 각각 별도의 수평선으로 프린트했다. 또 접착제 역할을 하는 하이드로겔이라는 잉크를 이용해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