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8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석면은 단열재 등 건축자재로 쓰였지만
국제
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2009년부터 국내에서 제조와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문제는 그 전에 사용된 석면을 폐기할 때 다량의 석면이 공기나 토양으로 배출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 ...
[과학뉴스]
국제
산불저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집계방식 등 산불 전반에 관한 연구 결과를 게재한다. 호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가
국제
산불협회의 위임을 받아 매달 발행하고 있다. 피인용지수(임팩트 팩터·Impact Factor)는 2.748로 그리 높지 않지만, 개별 연구자의 논문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영향력을 나타낸 ‘H-지수’가 67로 화재 관련 저널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절개한 뒤 이 접착제로 붙이는 실험에 성공했으며,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찾았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음색 변화가 아기의 학습을 어떻게 돕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천체로,
국제
천문연맹(IAU)은 2008년 이를 왜행성으로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하는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제
학술회의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추적해봤다. ▼관련기사를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미 ‘알파고’의 성공을 통해 인공지능(AI) 연구에서도 가장 앞서있다. 최근에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알파고를 능가하는 ’알파고 제로’를 공개했다. 2013년 디웨이브2 구입 당시 엔지니어링 디렉터였던 하트뭇 네벤은 자사 블로그에 “우리는 양자컴퓨터가 기계학습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씨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2015년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닐 때 국가대표로
국제
물리토너먼트에 나간 게 커피 컵 연구의 계기가 됐다”며 “기대하지 않고 논문을 투고했는데, 실제로 출판돼 많이 기뻤다”고 말했다. 논문이 제시한 결론은 “뒤로 걸어라”이다. 이그노벨상에 선정될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자전하의 최종 값은 현재까지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내년
국제
도량형총회에서 최종 결정한다. 물질량의 단위도 바뀐다. 아보가드로 상수를 6.02214X×1023mol-1으로 고정해 물질량을 정의한다. 켈빈은 지금까지 물의 삼중점 온도를 273.16K으로 고정해 사용해왔으나, 앞으로는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